미 연준 자산축소, 하반기에는 금융시장 변동성 커질 듯

(사진=자료사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다음 달부터 9년 만의 자산축소에 들어가고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데 대해 대규모 자본유출 등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게 당국과 시장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연준은 19~20일 (현지시각)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끝난뒤 다음달 100억댤러 규모를 시작으로 몇년간 자산을 계속 축소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연준은 이어 내년에는 보유 자산 축소 규모를 월 500억 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기준금리는 현재 1.00∼1.25%에서 동결했지만 올해 한 차례 기준금리 인상 방침도 시사해 12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 차례 양적완화를 통해 기업이 보유한 국채와 주택저당채권을 매입하는 형식으로 시중에 3조 7천억 달러를 풀었다. 이에따라 연준 자산은 8천억 달러에서 4조 5천억달러로 늘어났다.

보유자산의 축소는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긴축 효과가 있어 사실상 장기금리 상승을 의미한다.

당국과 시장은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 규모가 예상을 넘어서지 않는다는 점에서 시장에 미칠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연준의 12월 금리 인상과 자산축소 계획은 전반적인 시장의 예상"이라며 "금리 인상이 약간 늦춰질 것이라는 기대가 없지 않았지만, 국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도 "국내금리가 급격히 오를 가능성은 작다"며 "실제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 연준의 자산축소에 이은 12월 기준금리 인상, 유럽중앙은행(ECB)의 10월 양적 완화 축소(테이퍼링) 등이 맞물리면 국내 금융시장에서 자본유출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은행도 그동안 미 연준의 자산축소로 인한 대규모 자본유출 가능성은 적다면서도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해선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한은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금융안정회의 뒤 내놓은 '금융안정 상황' 보고자료에서도
"북한 리스크 상존, 주요국 통화정책의 기조변화 등에 따라 자본유출입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 2013년에도 버냉키 당시 미 연준의장이 채권 매입 축소를 시사했을 때 미국의 10년물 장기국채가 금리가 1%p 가까이 폭등하는 등 국제금융시장이 요동을 쳤었다.

한국금융연구원 박성욱 거시국제금융실장은 "뉴욕시장에서 달러가 강세로 가긴 했지만 미 연준의 자산축소가 이미 예고됐던 사안이라 극단적인 상황으로 가진 않았다"며 "하지만 유럽중앙은행도 긴축으로 가고 미 연준이 연말 기준금리를 올리면 신흥국 자본 유출 등 글로벌 금융시장에 영향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