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2.6% 올라 2012년 4월(2.6%) 이후 5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동안 물가 변동률은 지난 5월 2%, 6월 1.9%, 7월 2.2%를 기록했는데, 불과 한 달 만에 상승률이 0.4%p 늘어난 것이다.
이번 물가 상승의 주역은 농·축·수산물로 12.2%나 뛰어서, 2011년 8월(13.3%) 이후 가장 크게 뛰어올랐다.
이로 인해 지난달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8.3% 뛰어올라서 2011년 2월(21.6%) 이후 6년 6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소비자가 자주 사는 141개 품목 가격을 조사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달 3.7% 상승했다. 2011년 12월(4.4%)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이에 대한 농·축·수산물의 물가 상승 기여도도 7월 0.67%p에서 8월 0.96%p로 늘어났다. 이들 품목이 전체 물가를 1%p 가까이 끌어 올린 셈이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폭염·폭우 등으로 인해 채소류 가격이 많이 올랐고 과일값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라며 "달걀이나 오징어 등 축산물과 수산물도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무 가격이 지난달 무려 71.4% 뛰어올랐고, 달걀과 오징어값도 각각 53.3%, 53.1% 올랐다.
이 외에도 토마토(45.3%), 포도(31.6%), 돼지고기(12.1%) 등도 높은 가격 오름세가 이어졌다.
다만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소비자들이 외면한 달걀은 6.3% 하락했다.
국제 유가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휘발유·자동차용 LPG(액화석유가스) 등 석유류 제품 가격이 3.6%나 오른 바람에 전체 공업제품도 1.0% 올랐다.
반면 전기·수도·가스 요금은 상승률이 8%에 머물며 전달과 같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이는 전기료가 지난해 7~9월 한시 적용한 전기요금 인하 조처를 누진제로 개편하면서 올해는 시행하지 않아 비교적 요금 상승폭이 커보이는 기저효과 탓으로 보인다.
집세·공공 및 개인 서비스 등 서비스 가격은 보험서비스료(19.5%), 전세(2.9%) 등이 올랐지만, 해외 단체 여행비(-7%), 승용차 임차료(-3%) 등은 하락하면서 1.8% 상승하는데 그쳤다.
정부는 기상 호전 등에 따라 채소류 수급 여건이 나아지고, 전기요금 기저 효과가 사라지면 소비자물가의 상승세도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태풍 등 기상 재해와 국제 유가 변동 등이 물가 불안 요인으로 꼽혔다.
정부는 생활물가를 조기에 안정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가격 강세를 보이는 채소류를 중심으로 출하 조절, 생육 관리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추석 대비 성수품 확대 공급 방안 및 가격 불안 품목의 특별 수급 대책도 마련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