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지 동의하지만…'역차별'" vs "병폐가 해결되길 바란다"
학력기재 자체를 금지한 블라인드 채용에 대해서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의 생각은 처지에 따라 판이하게 달랐다. 소위 명문대라 일컫는 학생들은 취지 자체는 동감하지만, 세부적 내용에 대해선 역차별이라 주장하고 있다.
현재 연세대에 재학 중인 A 씨는 "학력을 배제하고 공평하게 경쟁하자는 블라인드 채용의 취지 자체는 좋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지역인재 할당제와 블라인드 채용을 병행하는 건 소위 명문대 학생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생각한다"고 채용의 불리함에 대해 지적했다.
이어 그는 "학력 자체를 배제하면 누구나 똑같이 학력을 배제해야 하는데 누군가는 지방에서 학교를 나왔다는 걸 이점으로 우대를 해주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덧붙였다.
고려대에 재학중인 D 씨 또한 비슷한 의견을 내비치며 불합리함에 대해 성토했다.
그는 "채용 과정에서 학점을 보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특수 직군에서는 전공과 학점을 본다는 것이 차별처럼 느껴진다"며 "사실 명문대생은 이미 수능에서 학습 능력을 인정받고 온 사람들이라 지방대와 비교집단 자체가 다른데 학점을 천편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다소 이해가 되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비명문대 학생들은 그들과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부산의 한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C 씨는 "직무와 관련한 능력은 학교에서 얼마나 자신이 본인의 소양을 갈고 닦았느냐의 문제이지 학력 급간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지방대를 나왔다는 이유로 서류 전형조차 붙지 못하는 친구들이 많았는데 이제는 그런 걱정을 덜게 되어 한숨 놓인다"라고 말했다.
‘지역인재할당제’에 관련하여서도 그는 명문대 학생들과는 다른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현재 한국에선 서울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보는 혜택이 얼마나 많나"라며 "그들이 받는 혜택은 생각조차 하지 않고, 본인의 학력을 드러낼 수 없으니 지역인재 할당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건 1차원적 발상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또 서울의 한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B 씨는 "지금 한국 대학은 본래의 취지는 무색하게 됐고, 취업을 위한 관문처럼 되어 가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하며 "대학 레벨에 따른 병폐가 앞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통해 다소 해결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블라인드 채용' 민간영역까지 확대 방침이지만…
정부는 공공영역에서 먼저 '블라인드 채용'을 추진한 후 민간영역까지 이를 점진적으로 확산시킬 방침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민간영역으로까지 실효성이 있겠느냐의 지적이 나오고 있다.
블라인드 채용과 관련하여 복수의 민간기업 관계자들은 "취지 자체는 긍정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으나, 민간기업들은 채용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는 최소한의 방법이 학력이지 않나"라며 "블라인드 채용에 대한 강제성이 없는 한 민간 기업이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할지는 미지수다"라고 밝혔다.
이에 정부는 최초 발표한 '블라인드 채용 추진방안'을 통해 이를 법제화하는 방안을 발표했지만, 현재 입법조차 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공공 부분뿐만 아니라 민간 부분에도 (블라인드 채용)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도 "정부 입법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방향을 놓고 논의 중이기는 하나, 현재 부처의 장관조차 인선되지 않은 상황이라 입장을 밝히기가 부담스럽다"며 말을 아꼈다.
한편 신창현 의원 등 다수의 의원이 '채용절차 공정화법 개정안'을 여러 차례 발의 하였지만 이는 모두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 중인 상황이다.
◇ 과거부터 '블라인드 채용' 실시한 민간기업 찾아보니…
이렇듯 블라인드 채용이 민간기업으로까지 확산되는 부분에는 많은 난항이 예상되지만 이미 과거부터 이를 시행하고 있던 민간기업과 공기업은 만족스럽다는 반응이다.
SK그룹은 지난 2015년부터 일체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지 않고 인턴을 선발하는 이른바 '인턴 바이킹 챌린지'를 실시하고 있다.
'인턴 바이킹 챌린지'는 자기를 소개하는 무형식의 소개문으로 서류전형을 진행한 후 일종의 오디션 개념으로 면접을 보고 채용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SK 관계자는 "인턴 바이킹 챌린지에서 선발된 인턴은 2개월간 인턴 기간을 거친 후 역량평가를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 결정이 된다"며 "총 인원 중 통상적으로 40퍼센트 정도가 정규직으로 전환이 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채용을 하게 된 배경을 묻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먼저 스펙과 학력 때문에 너무 많은 사회적 비용이 낭비되지 않냐"며 "이러한 문제의식을 느끼고 대기업이 먼저 선도적으로 시행을 해보자는 내부의견이 나왔다"고 답했다.
또한, 그는 "우리 기업의 경우 고스펙과 직무능력의 상관관계는 전혀 없다고 보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넓은 시야로 인재를 채용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블라인드 채용은 이미 공공기관에서도 실행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광산구청은 올 초부터 산하의 모든 공공기관 신입직원을 블라인드 채용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같은 실행 배경에 대해 광산구청 관계자는 "학력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펼칠 길조차 얻지 못한 사람들에 대해서 길을 열어주고 싶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그는 "사실 블라인드 채용으로 입사한 직원들이 아직 입사 초기이다 보니 업무 능력이 월등하다고는 볼 수 없지만 그래도 과거 스펙을 보고 뽑은 인재들에 비해 떨어진다고 보진 않는다” 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블라인드 채용이 한국 사회에서 가장 적폐라고 할 수 있는 학연, 지연, 혈연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대부분의 직원 및 구직자들의 반응 또한 호의적이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