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이날 이례적으로 대통령 명의의 조전(弔電)을 외교부와 주미한국대사관 등을 통해 웜비어 유족에게 전달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미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도 "북한이 웜비어의 상태가 안 좋아진 즉시 가족에게 사실을 알리고 최선의 치료를 받게해야 할 인도적 의무를 제대로 이행했는지 의문"이라며 "인류의 보편적 규범과 가치인 인권을 존중하지 않는 것은 대단히 개탄스럽다"고 밝혔다.
당장 9일 앞으로 다가온 한미정상회담에서는 북핵과 미사일 해결을 위한 접근방식이 의제가 될 수 밖에 없어, 두 나라 정상은 국제사회의 압박을 통한 제재와 대화 병행 등 구체적인 인식틀을 공유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선제적 변화가 있으면 대화를 할 수 있다는 전향적 모습을 보인 적이 있지만, 웜비어 사망으로 들끓는 미국 내 여론이 변수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웜비어 사망 직후 성명을 통해 북한을 '잔혹한 정권(brutal regime)'이라 규정하고, 존 매케인 공화당 상원 군사위원장도 "웜비어가 김정은 북한 정권에 살해당했다(murdered)"고 밝히는 등 미 행정부와 의회의 성난 반응도 문 대통령으로서는 부담이다.
이와 함께 미국에서 활동하는 수많은 인권단체들도 이번 사건을 계기로 북한 인권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할 예정이어서 참여정부 시절 대북 인권문제에 '로우키'로 대응했던 점도 새롭게 조망될 수 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이례적으로 대통령 명의의 조전을 보내고 "북한은 억류하고 있는 민간인을 속히 가족들에게 돌려보내야 한다. 정부는 이를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한 것도 미국의 성난 민심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모든 상황이 (한미정상회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는 없지만 특별히 이에 대한 위로를 표하는 과정에 대북정책 기조에 영향이 있다고 말하긴 이르다"면서도 "그러나 지금은 웜비어 사망에 대해 진심을 담는 것이 맞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