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특보는 19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아시아소사이어티에서 열린 ‘한반도 위기 - 한미동맹의 의미’ 세미나에서, 한미연합훈련 축소는 2010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사건 이후 전개된 미군 전략무기를 이전 수준으로 돌리자는 뜻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서 지난 16일 워싱턴DC에서 특파원들을 만난 자리에서도 미군 전략자산 배치는 과거에는 없었다가 천안함 폭침 이후 한국 정부에서 요청해 이뤄진 것이라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긴장의 상승효과가 생기는 것을 없애기 위해 (북한이 도발을 중단한다면 미군 전략자산 배치 없이 훈련을) 기존 방식대로 하자는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자신의 워싱턴 발언을 둘러싸고 논란이 커지자 뉴욕에서 재차 발언의 진의를 설명한 것이다.
문 특보는 또 자신의 발언이 문재인 대통령의 특보가 아니라 학자의 입장에서 한 발언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문 특보는 이날 “교수로서 개인의 생각일 뿐 문재인 정부의 생각은 아니다”라며 “나는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이 아니라 조언하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야당의 해임요구에 대해서는 “특보는 정부에서 월급 받는 자리가 아니다. 정책결정 라인에 있는 것도 아니다”라며 “특보로서 계속 의견을 낼 뿐이고 그것을 받아들이느냐 마느냐는 대통령이 결정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워싱턴 발언과 관련해 청와대로부터 경고를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노 코멘트’라고 답했다. 앞서 청와대는 “문 특보에게 한미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엄중하게 말씀드렸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정인 특보는 다음주로 예정된 한미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도 문 대통령을 좋아하게 될 것이다. 문 대통령이 한미 관계의 긴장을 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평양 방문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금은 그럴 상황이 아니다”라고 시기 상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문 특보는 이날 세미나에서 “우리의 궁극적 목표는 한반도 비핵화이고, 이는 핵동결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며 핵 동결에서부터 북한과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패널토론에 나선 대니얼 러셀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비핵화라는 정확한 목표가 만들어질 수 있어야 대화가 가능하다”고 말했고, 수미 테리 전 중앙정보국(CIA) 분석관은 북한이 비핵화를 협상테이블에 올리지도 않을 것이라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여 대조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