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가 본격적으로 업무에 임하면서 새정부의 국정장악 속도도 더욱 빨라지고 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이후 리더십 붕괴로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던 공직사회도 빠르게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보인다.
이낙연 총리에게 쏠리는 관심은 문재인 정부에서 실권을 가진 책임총리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있다. 역대 정권에서 책임 총리의 대표적인 사례는 국민의 정부 당시의 김종필 총리와 참여정부 때의 이해찬 총리다.
김종필 총리는 국민의정부가 DJP연합이라는 연정에 준하는 특수한 정치적 연대 속에서 탄생했기 때문에 정권에 일정한 지분을 가진 대주주로서 실권을 행사했다. 반면 이해찬 총리는 참여정부의 국정철학과 노무현 대통령의 배려, 이해찬 총리의 소신과 능력이 맞아 떨어져 이뤄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낙연 총리는 김종필 총리보다는 참여정부 당시의 이해찬 총리의 경우에 가까울 수 있다. 정권 탄생을 위해 일정한 지분으로 기여했다기 보다는 정권교체라는 공통분모를 매개로 문재인 대통령과의 관계가 맺어졌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대선 기간에 책임 총리를 강조한 데 이어 이날 임명장 수여식에서도 "헌법상 총리의 권한을 보장하겠다", "일상적인 국정은 총리의 책임이라는 각오로 전념해 달라"고 당부한 것은 이낙연 총리에게 내치에 관한한 실질적인 권한을 주겠다는 의미다.
이낙연 총리도 취임식에서 '가장 낮은 총리'가 되겠다고 자세를 낮추면서도 "문재인 정부는 나라다운 나라를 건설한 정부다운 정부여야 한다. 제가 통할하도록 명령받은 내각 또한 내각다운 내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한 의전총리, 대독총리에 머물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도 이 총리가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면서 책임을 지는 총리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민주당의 핵심 당직을 맡고 있는 한 의원은 "이 총리를 단순한 호남배려의 산물로 보지 않는다"며 "오래전부터 문재인 대통령과 교감하면서 호흡을 맞춰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무에 밝고 꼼꼼하며 아랫사람들에게 엄격한 성격이어서 공무원들이 다소 피곤할 수는 있겠지만 탄핵 이후 들어선 새정부의 초대 총리로서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숨기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