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5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위장전입 부분은) 우리도 고민스럽다"며 "대통령께서 총리 지명을 빠른 시일 내에 하다보니 본인도 몰랐고 우리도 몰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비서실장과 총리 후보자가 (지명 전) 여러가지 얘기를 나눴고, 그 과정에서 문제 소지가 있는지 확인했는데 인지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청와대는 이 총리 후보자가 전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장전입을 사실상 인정하자, 문재인 대통령이 밝힌 인사 원칙과 배치된다는 점에서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병역면탈과 부동산투기, 탈세, 위장전입, 논문표절 등 5대 비리 관련자는 고위공직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청와대는 강경화 외교부장관 후보자 검증 과정에서 밝혀진 장녀의 위장전입 문제 등을 적극적으로 공개하면서 위장전입 의도가 불순하지 않다면 능력있는 인재를 적재적소에 쓰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강 후보자 딸이 미국에서 귀국하면서 일시적으로 친척집에 머물며 학교를 다닌 것을 참작한 것으로 해석됐다.

특히 청와대에서 대부분의 장관 후보자들 검증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이 후보자의 위장전입 논란이 불거진 것 자체도 부담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공직 후보자의 신상에 문제가 있다면 이를 사전에 공개하자고 하지만 위장전입 같은 문제가 있을 때 세부적 기준을 만들지 등은 아직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5대 원칙이 사실상 무너졌다고 보면 되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무 자르듯이 (원칙이) 무너졌다, 아니다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예외적인 상황은 먼저 말씀드리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