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5일 내놓은 '2016년 소득분배지표'에 따르면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와 소득 5분위 배율, 상대적 빈곤율 등 빈부격차를 나타내는 지표들이 모두 급격히 나빠진 성적을 기록했다.
우선 지난해 전체가구의 지니계수는 0.304로 전년 0.295보다 0.009나 증가해 2012년 0.307 이후 가장 악화된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이번 상승폭 0.009는 전체가구 지니계수를 산출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크게 뛰어오른 수치다.
지니계수는 전반적인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써 '0'이면 사회구성원의 소득이 같은 완전평등, '1'이면 부유한 구성원 홀로 소득을 독점하는 완전 불평등을 의미한다.
양극화 수준을 나타내는 지난해 소득 5분위 배율 역시 5.45배로 전년 5.11배에 비해 0.34배p 증가해서 2012년 5.54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상위 20% 계층이 하위 20% 계층보다 5.45배 더 많은 소득을 벌어들이고 있다는 뜻이다.
또 취약계층의 빈곤 상태를 살펴볼 수 있는 지난해 상대적 빈곤율도 14.7%로 전년 13.8%에 비해 0.9%p 증가했는데, 이 역시 2011년 15.2 이후 가장 높은 기록이다.
상대적 빈곤율은 우리나라 인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제일 가운데 위치한 사람의 소득인 중위소득 이하인 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특히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근로연령층(18~65세) 지니계수는 0.279(전년대비 0.006 증가), 소득 5분위 배율은 4.48배(0.20배p 증가), 상대적 빈곤율은 9.0%(0.5%p 증가)로 악화됐다.
또 은퇴연령층(66세이상)도 지니계수는 0.387(0.006 증가), 소득 5분위 배율은 7.86배(0.34배p 증가), 상대적 빈곤율은 47.7%(2.0%p 증가)로 근로연령층보다 더 나빴다.
이에 대해 통계청 김정란 복지통계과장은 "인구구조변화로 고연령층에서 확대되고 증가되는데 소득 혹은 복지정책에서 약하게 보호됐다"며 "또 지난해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용근로자가 줄어들어 소득 부분에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또 "기초노령연금 확대 실시로 인해 전년 통계인 2015년 지표가 좋았던 기저효과로 2016년 상황이 나쁘게 보이는 부분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