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전문가, '1년내 금융위기' 가능성…낮다 51% vs 높다 13%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금융전문가들은 금융시스템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1년내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이전보다 낮게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17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금융전문가들은 1년 내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재화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51%가 낮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10월의 직전 조사 때보다 낮다는 비중은 7%포인트 상승한 반면 높다는 응답은 10%포인트 낮아졌다.

이번 조사는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과 금융시장(주식, 채권, 외환·파생 등)참가자, 해외금융기관의 한국 투자담당자 등 72명을 상대로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10일 사이에 진행됐다.

1~3년 사이의 중기 시계에서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재화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38%가 높다고 답해 직전 조사 때보다 6%포인트 낮아졌다. 낮다는 응답도 15%로 3%포인트 하락했다. 높다와 낮다의 비중이 동시에 하락한 가운데 보통이란 응답은 38%에서 47%로 높아졌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질문에 37.5%가 높다고 답했으며 보통은 55.6%, 낮다는 응답은 4.2%에 불과했다. 직전 조사(31%)에 비해 높다는 응답은 9%포인트 높아진 반면 낮다는 응답은 9%포인트 떨어졌다.

북한 핵문제가 악화되면서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협 요소로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상했다.

금융전문들은 5개 금융시스템 리스크 요인을 중요도 순으로 열거하는 설문에서 응답자의 33%가 1순위로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꼽아 가장 많았다.

이어 가계부채문제(32%), 미 연준의 금리인상 및 보유자산 축소(14%),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7%), 가계소득 부진 지속(4%) 순이었다.

응답자들이 적시한 5개 리스크 요인을 중요도에 관계없이 단순집계하면 가계부채(85%)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가계부채는 응답자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리스크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어 지정학적 리스크(71%), 미 연준의 금리인상.보유자산 축소(63%),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51%),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44%) 순이었다.

작년 10월 조사에서 2위였던 저성장, 저물가고착화(51%)와 4위였던 중국 경기둔화·금융불안(48%)는 이번 조사에서 빠진 대신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추가됐다.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리스크로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가계부채 문제가 꼽혔다.

1년 이내의 단기 리스크로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 연준의 금리인상·보유자산 축소, 3년 이내의 중·단기 리스크로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 1~3년의 중기 리스크로는 가게부채가 지목됐다.

발생 가능성이 노은 리스크로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보유자산 축소 등이 꼽혔고, 가계부채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 등은 중간 정도로 인식됐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