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검찰과 법무부 요직의 동시 다발적인 공석은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경우다. 이는 자연스럽게 대규모 인적 쇄신을 예고한 전초전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본격적으로 인사가 단행되기도 전에 '검찰 빅3'가 물러 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과 조국 민정수석이 재수사와 조사 의지를 밝힌 '정윤회 문건 사건' 관련자와 '우 전 수석 등 국정농단 사건' 수사팀도 인적 쇄신 대상으로 오를 것으로 점쳐진다.
조 수석은 정윤회 문건에 나온 비선실세에 대해 제대로 조사가 이뤄졌다면, 최악의 국정농단 사태를 없었을 것이라는 인식이다.
검찰에선 "문건에 나온 비선 모임의 장소, 일시 등에 대해 검증하고 허위로 결론을 낸 것"이라고 항변하고 있지만, 이는 사건 본질을 회피한 변명이라는 게 현 정권의 판단이다.
비선모임 자체보다도 중요한 것은 비선실세의 국정개입과 이 과정에서의 법률 위반 등의 행위인데 이에 대해선 손을 대지 못했기 때문이다.
검찰이 얼마든지 인지 수사를 할 수 있었지만, 비선실제 존재를 파악하는데는 아무런 힘을 쓰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윤회 사건 처리에 대한 공(功)을 인정받아 우 전 수석이 비서관에서 승진했다는 것은 검찰 안팎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세월호 수사 외압과 관련해선 김주현 대검 차장 뿐아니라 황교안 전 국무총리도 연루됐다는 의혹이 나온다.
특히 국정농단을 방조, 묵인한 혐의를 받은 우 전 수석이 구속을 피한 것과 관련해 수사 총괄 책임자인 이영렬 지검장의 책임도 거론된다.
이 지검장과 동반 사퇴의사를 밝힌 안태근 검찰국장도 사정은 비슷하다.
이에 따라 검찰 재수사나 특검에 앞서 대대적인 인적 물갈이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경우에 따라선 일부 수사 책임자들은 수사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사정당국 관계자는 "특검이 검찰 내부에 대해 수사를 하지 못한 것은 힘이 부쳤기 때문"이라며 "이를 다음 정권을 몫으로 남겨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법무부 장관과 검찰 총장 인선이 이뤄지면 '우병우 라인'을 정조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우 전 수석이 너무 세세하게 인사에 개입해 우 전 수석의 손을 안탄 사람을 찾기 어려울 정도"라는 말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