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정책실장과 국가안보실장 등 핵심 인선은 시간을 두면서 최대한 신중을 기하는 기류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하루 만인 11일 청와대 직제개편을 통해 참여정부 때 있었던 정책실장을 부활시키고, 국가안보실에는 기존 비서실에서 맡던 외교, 국방, 통일 정책 보좌기능을 이관했다. 비서실장에게 집중된 권력을 분산시킨 것이다.
이렇게 재편된 '4실 8수석 체제'에서 14일 현재 2명의 실장(비서실장·경호실장)과 6명의 수석 비서관(정무·민정·사회혁신·국민소통·인사·사회)이 인선 완료된 것도 발 빠른 대응이다.
인선이 늦어지고 있는 자리는 2실장 2수석, 즉 국가안보실장과 정책실장, 일자리 수석과 경제수석(정책실장 산하)이다. 하나같이 새 정부 핵심 요직으로, 초기 국정운영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인사이기 때문에 시간이 걸린다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책실장 등은) 경제부처 인사와 다 같이 조율하고 균형이 맞을 필요가 있다. 시너지 효과가 나는 인사 , 훌륭한 인사들이어야 할 뿐 아니라, 그런 조합도 맞아야 하기 때문에 좀 시간이 걸리는 것"이라고 했다. 또 "외교·안보라인도 중요하니까 (국가안보실장 인선에)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부활한 정책실장은 일자리·경제·사회 수석의 업무를 총괄·조율하는 '정책 콘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특히 문재인 정부 초대 정책실장은 문 대통령이 연일 강조하는 '일자리 창출'의 초기 활로를 개척하는 자리기에 더욱 어깨가 무겁다. 후보로는 김동연 아주대 총장과 이용섭 전 의원, 조윤제 서강대 교수와 김석동·신제윤 전 금융위원장 등이 거론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가장 비중있는 정책은 일자리"라며 "본질적으로는 마켓(시장)이 움직여야 한다. 문 대통령도 어디까지나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은 마중물이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 마중물이 효과를 거두도록, 시장의 작동을 지원하는 것이 (정책실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국가안보실장도 국방 뿐 아니라 외교 통일까지 총괄하는 직책이어서 다방면에 전문성을 갖춘 인사 발탁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선 때 문 대통령의 외교자문단장을 지냈던 정의용 전 주 제네바 대표부 대사와 김대중·노무현 정부 대북정책과 외교정책 입안에 역할을 한 문정인 연세대 교수 등이 하마평에 오른다.
청와대는 정책실장과 국가안보실장 인선이 뒤로 밀리는 상황에서 국정운영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외교 안보와 정책 태스크포스(TF)를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규모는 15명 이상으로 외교 안보 TF 단장은 정의용 전 대사가, 정책 TF 단장은 김수현 사회수석이 맡았다.
한편 청와대 대변인 인선도 추천 인사는 많지만, 정무적 판단과 언론 대응 경험을 두루 갖춘 인물을 찾아야 한다는 점에서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주요 인선은 이르면 이번주 안에 마무리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