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고령화를 극복하는 지역들, 성장 원천은?

산업·인구·공간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지역성장을 실현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최근 급속한 고령화로 지방소멸의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오히려 고령화가 상당히 심화된 지역에서 높은 경제성장을 구현하는 '초고성장·초고령지역' 유형으로 35개 시군구가 존재한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산업연구원(KIET, 원장 유병규)이 14일 발표한 "인구고령화를 극복하는 지역들, 성장 원천은 무엇인가?"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화는 시대적 흐름이며 직면해야 할 현실이지만 정책적 수단을 통해 지역성장 둔화를 완화 또는 상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연구결과, 초고성장·초고령지역 중 82.9%에 해당하는 29개 시군구가 비수도권의 군(郡)지역으로 분류되어 인구구조 및 사회적 인프라가 불리한 지역이 성장 침체를 경험할 것이라는 일반적 인식과는 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급속한 인구조로현상은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의 기여도가 큰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에 따라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다.

OECD 34개국 및 우리나라 시도 16개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고령화가 심화된 국가나 지역일수록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는 반비례관계가 성립된다.

그럼에도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은 35개 시군구가 존재하며, 이중 82.9%가 비수도권의 군(郡)지역으로 구성되어 일반적 인식과 차이가 있다.

1인당 GRDP 증가율이 전국 평균의 1.5배 이상이면서 고령인구 비중이 20%를 상회하는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은 35개 지역이 존재한다.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의 고령인구 평균 비중은 25.4%에 달하지만, 1인당 GRDP 증가율은 7.5%를 기록해 오히려 사회적 인프라가 우수한 수도권 및 광역시 중심의 비고령지역보다 높은 지역성장을 도모하다는 것이다.

이같은 결과는 고령화가 심화된 군지역(주로 농촌지역)의 지역성장이 침체할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과 상반된 결과다.

보고서는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은 산업·인구·공간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지역성장을 실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제조업기반이 농림어업 존속형의 경우, 대도시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조업과 1차 산업이 혼재하는 양상이다.

서비스업·제조업 동반성장형의 경우는 서비스업과 제조업 두 부문에서 일자리가 제공돼 타 유형에 비해 인구 구성 자체가 우위에 있다.

농림어업 특화형의 경우는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기반이 매우 미흡한 환경이나, 1차산업 부가가치 제고와 6차산업 활성화를 통해 지역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보고서의 저자인 허문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고령지역이 고성장을 실현하려면 산업·인구·공간 등 3대 구조의 지역특성을 극대화해 지역 전체에 파급효과가 확산될 수 있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정책 추진이 성장 원천"이라면서 "특히 기존산업의 구조고도화와 6차산업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