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교체' 열망에 고질적 지역구도 '흔들'

호남 쏠림 현상 '완화'…TK 보수 막판 결집에도 文 '선전'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당선인이 19대 대통령 선거일인 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에서 두 팔을 번쩍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황진환 기자)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영호남으로 대표되는 지역구도에 균열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미증유의 국정농단 사태로 촉발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따른 선거라는 측면이 맹목적 '몰표'를 막는 요인이었다.

또 박근혜-문재인 양강 구도를 이뤘던 18대 대선과 달리 이번 대선은 다자구도로 치러진 것도 지역구도를 완화시키는데 한몫 했다.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의 최종 득표율은 41.1%로 수도권과 충북, 호남은 물론 보수색이 강한 강원과 부산·울산 지역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주목할 점은 보수의 심장격인 대구와 경북 지역에서도 20% 이상의 지지를 얻었다는 점이다.

문 당선인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에서 21.8%를 득표했다. 경북에서도 21.7%의 득표율을 올렸다. 지난 18대 대선 당시 대구과 경북 지역 지지율이 각각 19.5%, 18.6%에 그친 점과 비교할 때 소폭이나마 오른 수치다.

반면 마지막까지 보수 결집을 호소했던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절반의 지지를 받는 데 그쳤다. TK 수성에는 성공했지만, 대구 45.4%, 경북 48.6%로 과반 득표에 실패했다.

TK는 지난 18대 대선에서 박 전 대통령에게 80%의 지지를 몰아준 지역이다. 하지만 이번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로 보수 표심이 흩어진 양상을 보였다. 안 후보는 대구 15%, 경북 14.9%의 지지를 얻었다. 유 후보도 대구에서 12.6%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물론 유 후보는 물론 안 후보가 얻은 표의 상당 수가 보수 표라는 점에서 진보 후보에 대한 거부반응은 여전하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문 당선인의 집권을 막기 위해 전략적 투표를 하기 보다는 소신투표를 했다는 점에서 보수의 대안세력을 찾아나선 흐름을 읽을 수 있다.

PK의 경우 흔들린 지역구도 양상이 더 확연히 드러났다. 홍 후보가 도지사를 지낸 경남을 제외하고는, 부산과 울산에서 문 당선인이 각각 38.6%, 38.1%의 지지로 1위를 차지했다. 경남은 홍 후보 37.2%, 문 당선인이 36.7%로 초박빙 양상을 보였다.

야권의 심장인 호남 역시 특정 후보로의 쏠림 현상이 옅어진 모습을 보였다.

지난 2012년 18대 대선에서 문 당선인은 광주 91.9%, 전남 89.2%, 전북 86.2%으로 80% 이상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절반을 조금 넘긴 과반 확보에 만족해야 했다.

광주에서 문 당선인은 61.1%로 1위, 안 후보는 30.1%로 2위를 차지했다. 전남과 전북 지역에서 안 후보 득표율은 각각 30.7%, 23.8%로 표심이 분산됐다.

지난해 20대 총선에서 양당 체제 대신 다당 체제를 선택했던 민심이 이번 대선에서도 지역주의 '몰표' 대신 새로운 대안세력을 찾는데 눈을 돌리고 있다는 '변화'를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