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주민 "마을방송뿐 재난문자 없어…못들음 어쩌라고"

- 큰불 진화됐지만 잔불 살아나
- 동시다발 산불 16건 이례적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고재인(강릉 관음2리 이장), 채희문(강원대 산림환경보호학과 교수)

황금연휴의 막바지였던 지난 주말 전국 16개 지역에서 크고 작은 산불이 잇따랐습니다. 특히 강릉, 삼척 지역이 심각한데요. 무려 축구장 70배 크기의 산림을 태우고 어제 저녁에 다행히 불길이 잡히는가 했는데 간밤에 꺼진 줄 알았던 불씨가 되살아난 겁니다. 지금도 불길이 번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장 피해가 심하고 밤에 재점화도 이곳에서 벌어졌죠. 강릉 성산면 관음2리 고재인 이장 연결을 해 보죠. 이장님, 나와 계십니까?

◆ 고재인> 네네.

◇ 김현정> 간밤에 대피령이 또 내린 거예요?

◆ 고재인> 일단은 대피령이 내려졌다가 지금 현재는 또 다시 해제가 됐습니다.

(사진=자료사진)
◇ 김현정> 해제가 됐어요?

◆ 고재인> 처음에는 발화를 하다가 다시 진화가 되는 바람에.

◇ 김현정> 지금은 불길 상황이 어떤 건가요?

◆ 고재인> 지금은 진화는 큰불은 다 진화가 됐는데 지금 잔불들이 조금씩 간간이 피어나고 있어요.

◇ 김현정> 어제는 완전히 진화가 됐다고 제가 한 저녁 6시쯤에 소식을 들었는데 그게 어떻게 다시 번진 겁니까?

◆ 고재인> 그래서 지금 산에 아마 낙엽이 많이 쌓여 있어 가지고 위에서 확인되는 건 다 확인이 됐는데 아무래도 나무가 좀 썩어 있다든가 이런 데서 붙어 있다가 다시 바람이 많이 부니까 이게 발화가 되는 거예요.

◇ 김현정> 성산면은 이재민이 몇 분이나 되세요?

◆ 고재인> 전체적으로는 제가 자세히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희 마을 같은 경우에는 한 15명 정도 됩니다.

◇ 김현정> 그 마을만 해도?

◆ 고재인> 네네.

◇ 김현정> 그분들은 지금 어디 묵고 계십니까?

◆ 고재인> 지금 일부는 지인 집에 가신 분들도 있고 아니면 마을회관에 모여 있죠.

◇ 김현정> 마을회관에 모여 계시고. 도대체 불길이 처음에 어떻게 마을로 덮쳐 온 거예요? 대피하라는 명령을 먼저 받으신 거예요, 불 보기 전에?

◆ 고재인> 그렇죠. 저희가 연락을 받았죠. 산불이 발화되기 시작됐다 이래가지고...

◇ 김현정> 어디서, 어디서 연락받으셨어요?

◆ 고재인> 그거는 성산면사무소에서 연락을 받았죠.

◇ 김현정> 면사무소에서. 피해라, 연락을 먼저 받고.

◆ 고재인> 그리고 마을 방송을 하고 한 30분 내에 그날 강풍이 되게 많이 불었어요. 순식간에 바람 타고 연기에서 해가지고 넘어와서 어떻게 할 수가 없었죠. 사람만 빠져나왔죠, 일단.

◇ 김현정> 불이 그냥 눈에 보일 정도로 활활 타서 저쪽에서 넘어오던가요, 대관령에서?

(사진=자료사진)
◆ 고재인> 그렇죠. 바람이 굉장히 셌어요, 그날은. 산에서 불길이 올라오면 불길이 날아다니잖아요, 바람 타고. 그러니까 거기서 바람이 불면서 소나무의 솔방울이라든가 여러 가지 불 붙은 이물질이 날아다니면서 이쪽에 붙고 저쪽에 붙고 사방에 동시다발적으로 붙어나가는 거죠. 그러니 어떻게 속수무책이죠.

◇ 김현정> 그렇군요. 그때부터는 이것저것 챙길 것도 없이 그냥 몸만 빠져나오신 거네요.

◆ 고재인> 그렇죠. 챙길 여유가 없었죠. 연기가 그냥 꽉 차가지고 넘어오니까 앞이 안 보일 정도로.

◇ 김현정> 앞이 안 보일 정도로?

◆ 고재인> 상황이 그런 상황이니까 챙기고 뭐 할 게 없죠. 사람 몸만 빨리 빠져나와서 대피하라고 해서 성산초등학교로 다 대피를 시켰죠.

◇ 김현정> 그러셨어요. 그때는 심정이 어떠시든가요.

◆ 고재인> 심정이야 이루 말할 수 없죠. 그때 연기가 워낙 자욱하게 나오고 재가 날리고 이러니 급한 마음에 다들 몸만 나왔는데 나중에 탄 집들은 대성통곡을 하죠. 아무것도 못 챙기고 나왔을 뿐더러 당장 어떻게 할 수가 없는 상황이고 그러니까.

◇ 김현정> 그렇겠네요, 그렇겠네요. 인명피해가 없는 게 그나마 다행이기는 합니다만.

◆ 고재인> 그렇습니다. 저희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거는.

◇ 김현정> 지금 대성통곡했다는 그분 말씀처럼 이거 이제 어떻게 하나. 농촌에서 막막하실 것 같아요.

◆ 고재인> 그렇죠. 앞으로가 어떻게 해야 될지가 문제죠.

◇ 김현정> 이번에 진화부터 대피 과정 쭉 보면서 이장님, 제일 좀 속상하신 점은 뭡니까?

◆ 고재인> 저희는 시골마을이다 보니 방송으로 합니다. 방송을 들을 수도 있고 또 순간적으로 못 들을 수도 있거든요. 그런 게 좀 있죠.

◇ 김현정> 국민안전처라든지 이런 곳으로부터 재난문자도 한 통 못 받으신 거죠?

◆ 고재인> 그래줬으면 좀 낫지 않았을까.


◇ 김현정> 알겠습니다. 그나저나 졸지에 이재민된 주민들은 어쩌신대요?

◆ 고재인> 앞으로 그분들이 제일 문제죠. 그러니까 빨리 앞으로 어떻게 수습을 해서 국가에서 뭐 하든지 어디서 해가지고 그분들의 생활터전을 마련해 줬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 김현정>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힘내시고요. 고맙습니다.

◆ 고재인> 감사합니다.

◇ 김현정> 가장 피해가 심각했던 곳 밤사이에 불씨가 다시 살아나서 지금 또 다시 진화 작업을 하고 있는 곳입니다. 강릉 성산면 관음2리의 고재인 이장 연결해 봤습니다. 원래 산불이 잘 나는 기간이기는 합니다만, 아무리 그래도 동시다발적으로 16군데에서 불이 났다는 거 이거 좀 이례적이죠. 게다가 이 대처는 잘 된 건지 이 문제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강원대 산림과학과 채희문 교수 연결을 해 보죠. 채 교수님, 나와계세요.

◇ ◆ 고재인> 네, 안녕하세요. 채희문입니다.

◇ 김현정> 아무리 화제 화재 나기 좋은 시기라는 걸 감안해도 열여섯 군데 동시다발. 이거 좀 이례적인 거 아닌가요, 교수님?

◆ 채희문> 원래 산불이 많이 나는 시기가 3월 말에서 4월 초쯤인데요. 그때는 전국적으로 통계를 살펴보면 10건 이상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이 시기가 5월 중순 정도 되는 이 시기가 사실 산불이 좀 동시 다발적으로 16건 정도 난 건 이례적이라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사진=자료사진)
◇ 김현정> 바람이 좀 많이 불고 워낙 건조해서 그런 가요? 평소보다도, 예년보다도 더?

◆ 채희문> 지금 강원도 지역이 전반적으로 비가 거의 안 온 지 열흘 정도 이상이 된 상황입니다. 상대적으로 상당히 건조하죠. 그리고 그 지역이, 산불 난 지역이 상당히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이라서 한번 산불이 발생하게 되면 지금과 같은 대형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 김현정> 그래요. 이건 천재지변이다.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그 후에 대응 과정은 괜찮았느냐. 이 부분이 중요한데 지금 대피하신 분들 말씀을 들어보면 대피 문자 하나도 못 받았다. 그냥 마을회관에서 방송하는 거 그거 듣고서 우리는 움직였다. 그래서 가재도구 뭐 하나 챙겨오지도 못했다고 호소를 하세요. 아니, 국민안전처가 이 정도 불인데도 문자 하나 안 보냈을까요?

◆ 채희문> 지금 산불이 진화하는 과정이라서 정확하게 어떻게 말씀드리기는 좀 그렇지만 어쨌든 산불이 발생하게 되면 산불의 확산 속도가 워낙 빠르게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예측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지게 되는 거죠. 그래서 사실은 이런 대형산불 같은 경우 바람을 타고 빠르게 되면 초속 2-3m 이상으로 불이 확산이 되니까 워낙 불이 빠르게 확산되었기 때문에 그랬을 가능성이 있고요. 그 다음에…

◇ 김현정> 아니, 그런데 교수님, 아무리 빠르게 확산이 돼도 지진 같은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나도 일단 조심하십시오. 이런 문자가 가잖아요. 마찬가지로 불도 일단 화재가 났다 하면 그 주변의 전방 얼만큼까지는 다 문자를 보낸다든지 이런 매뉴얼 없어요, 혹시?

◆ 채희문> 저희도 그런 매뉴얼이 있기는 있습니다. 그런데 대체적으로 산불 발생 같은 경우에는 산불이 발생하게 되면 민가 피해 같은 그런 쪽에 관련된 매뉴얼이 있지만 먼 지역까지 예를 들어서 연기가 30㎞ 이상 지역까지 연기가 진행이 되는데 그것과 관련된 매뉴얼은 아직 없는 걸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렇군요. 어디까지 어떻게 해라 하는 아주 자세한 매뉴얼은 없는 상태. 우왕좌왕하다가 시간 놓치고 마을회관에서 주민 여러분, 이런 스피커 방송밖에 안 나갔다는 거예요. 안타까운 상황 같습니다.

◆ 채희문> 가까운 지역 같은 경우에는 방송이나 기타 등등의 매뉴얼에 의해서 움직이게 되는데 사실은 먼 지역에 살고 계시는 분들. 예를 들어서 멀리서 산을 보게 되고 연기가 자기 집앞으로 오게 되는 경우 같은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데 그런 정보의 제공이 약간 미흡한 건 있는 것 같습니다.

◇ 김현정> 그러게 말입니다. 더 넓은 지역, 그러니까 전체 국가 차원의 시스템 이런 것들을 이번 기회에 점검하고 가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이 드네요.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 채희문>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강원대학교 채희문 교수까지 만났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