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전체 주택 133만 가구 중 아파트로 대표되는 공동주택을 제외한 단독주택은 60만 가구에 달한다.
단독주택지는 대부분 노후화와 인구 고령화 등으로 주거환경이 크게 나빠지거나 재개발과 재건축을 통해 원주민이 밀려나고, 전면 철거를 통해 아파트단지로 변화하는 상황에 내몰리기 일쑤다.
부산시는 지역성 소멸과 주민공동체 해체, 도시 양극화의 전철을 밟고 있는 단독주택지에 대한 새로운 관리정책으로 지역 맞춤형 물리적 재생과 사회적 재생 방안을 골자로 한 '통합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7일 시청에서 열리는 '60만호 단독주택지 도시재생계선개획 용역' 최종보고회는 이를 위한 마스터플랜 준비 성격이다.
용역은 단독주택지를 지형과 형성배경, 기반시설 상태, 건축밀도 등 4가지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를 다시 16개 유형▲지형-평지/경사지 ▲형성배경-계획적/자연발생적 ▲기반시설
상태- 양호/열악 ▲건축밀도-중저밀도/고밀도로 세분해 맞춤식 도시재생 방안을 제시했다.
부산지역 205개 행정동은 이들 16개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관리방안을 추진하게 된다.
또 범죄예방환경디자인(셉테드) 적용과 도시가스 보급 등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식이다.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단독주택지는 주택개량과 집수리종합지원센터 운영,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공용주차장과 CCTV, 가로등과 보안등, 마을벽화 설치를 비롯해,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저비용 주거단지 조성과 범죄예방환경설계 구축 등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 마을 특성과 주민 요구에 따라 맞춤식으로 추진된다.
물리적 재생과 함께, 통장 기능을 비롯한 기존 행정서비스 확대, 주민간 의사소통 활성화와 공동체 복원 등 사회적 재생 사업도 추진한다.
이르면 올 하반기나 내년초 각 유형별로 3개 마을을 선정해 시범사업을 추진한 뒤, 문제점을 보완해 전체 단독주택지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사람 중심의 공동체 회복을 위해 '다복동 마을활력단 인력 양성' 프로그램도 도입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단독주택 통합관리 정책을 통해 단독주택지 주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주거정책을 편다는 방침이어서 앞으로 추진 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