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은 고통 분담을 내세우며 인력 감축과 임금 삭감 등을 추진중이지만 일반 직원들의 반응이 냉담해 구조조정을 놓고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다.
전경련이 스스로 내놓은 '혁신안'을 제대로 추진하지 않을 경우 대선 후 해체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15일 재계와 전경련에 따르면 전경련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해체 압박이 거세지자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새로운 조직으로 거듭나겠다며 '고강도 혁신'을 선언했다.
지난 3월 24일 발표한 '혁신안'은 정경유착 근절과 조직·예산 40% 감축이 골자다. 전경련은 이후 기존 7본부 23개 팀 체제를 1본부 2실 6팀 체제로 바꾸고 경영이사회를 신설하는 등 조직을 축소·정비했다.
또 자체적으로 사용하던 여의도 사옥 4개 층 가운데 2개 층을 임대하고, 부서운영비를 삭감하는 등 후속조치를 시행했다.
13일에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희망퇴직 공고를 냈다. 전경련이 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는 것은 현명관 상근부회장 재직 때인 2003년 이후 처음이다.
전경련은 조만간 구조조정과 급여삭감, 복지축소안을 확정해 발표하는 등 '고강도 쇄신'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쇄신' 작업이 어느 정도 진행되는 모양새지만 내부 분위기는 무겁다.
전경련 전체 직원 180여명(계열사 인원 포함) 중 30여명 이상이 '정리'되고, 남은 직원들도 급여의 30% 가량을 삭감할 것이란 말들이 돌면서 직원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직원은 "전경련이 오랫동안 정경유착의 핵심고리 역할을 해 왔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일반직원들은 잘못이 없다"면서 "잘못은 위에서 저지르고 고통은 모두가 분담해야하는 것인지 답답하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다른 직원은 "(구조조정에서) 살아남더라도 급여나 복지가 대폭 축소될 것"이라며 "분위기가 뒤숭숭해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고 말했다.
전경련이 뼈를 깎는 심정으로 혁신하겠다고 공언했지만 해체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여전해 존립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시민단체와 정치권 일각에서는 전경련의 해산만이 정경유착의 핵심고리를 끊는 길이라며 완전한 해체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전경련 해체를 줄기차게 주장해온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정부에 전경련 설립허가 취소를 요구했다.
경실련은 10일 기자회견에서 "전경련은 어떻게든 조직을 유지하기 위해 혁신 없는 혁신안을 내놓으며 정경유착을 이어가려 하고 있다"며 "건전한 국민경제 발전을 위해 정경유착의 상징인 전경련이 반드시 해체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실련은 전경련의 설립허가 취소, 전경련의 위원회 참여 배제, '전경련 해산 촉구 결의안' 조속 통과, 전경련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책임자 처벌 등을 정부에 거듭 요구했다.
경실련 권오인 경제정책팀장은 "전경련은 정경유착이라든지 부패사건이 발생할때마다 사과와 쇄신책을 내놨지만 전혀 지켜지지 않고 거짓만 반복해왔다"며 "더 이상 국민은 신뢰하지 않고 스스로 해체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도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경련의 해체를 요구했다. 이들은 "전경련은 정경유착의 주범으로 해산해야할 단체"라며 "정부는 전경련의 설립인가를 취소하고, 재산을 몰수하라"고 촉구했다.
전경련의 전체 연간회비 500억 원 중 4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70%로 350억 원 정도다. 이들 4대 그룹이 모두 탈퇴하면서 회원사로부터 거둬들이는 회비 수입이 3분의 1로 크게 줄었다. 잔류 중인 나머지 기업들 가운데 상당수도 회비 납부를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은 내부적으로는 조직 쇄신에 집중하고, 외부적으로는 고위 임원들이 정치권 인사 등을 상대로 전경련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등 존립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전경련의 한 관계자는 "전경련에 대해 실망한 분들이 많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앞으로 전경련이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는 모습을 보인다면 신뢰가 다시 살아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 정권교체가 이뤄지면 새정부는 전경련 설립 허가를 취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창립 56년만의 최대 위기를 맞은 전경련의 존폐는 대선 이후에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