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과 채권단은 10일 사채권자인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를 상대로 대우조선 정상화 계획을 직접 설명하고 이를 수용하도록 설득에 나선다. 설득에 끝내 실패하면 법정관리의 하나인 P플랜으로 넘어가 법원에 의해 강제 채무조정이 불가피하다.
정부가 2조9천억원을 추가 지원하기 위해서는 대우조선 회사채를 보유한 32개 기관투자가들이 정부의 정상화 방안에 동의해야 한다. 정상화방안은 회사채 중 절반은 주식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절반은 만기를 3년간 연장하는 것이다.
사채권단의 수용여부는 사실상 대우조선 회사채의 약 3분의1에 이르는 4천억원을 보유한 국민연금의 결정에 달려 있다.
그러나 그동안 국민연금은 대우조선의 회생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왔다.
국민연금 관계자들은 휴일인 9일 대우조선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을 방문해 출자전환 비율 축소와 회사채 원금의 일부 상환, 산은의 추가 감자 등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연금으로서는 대우조선이 끝내 회생에 실패할 경우 투자금을 모두 날리게 되는
만큼 채무재조정안이 채권단에 수용되지 않아 P플랜이 가동될 경우 채권의 90% 정도가 소각되지만 10%라도 건지는 게 유리하다.
이에 따라 산은 측이 국민연금이 9일 제시한 수정안에 대해 10일 모임에서 어떤 답변을 내놓을 것인지 주목된다.
채권단과 대우조선은 10일 이동걸 산은 회장과 최종구 한국수출입은행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모두 나서 32개 기관투자가를 설득할 예정이다.
채무조정에 실패해 P플랜으로 갈 경우 채권자들의 피해가 훨씬 더 크다는 점과 정상화 방안이 계획대로 추진돼 2조9천억원이 지원되면 대우조선이 회생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채무조정안 수용에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다.
사채권을 제외한 시중은행의 채무 조정, 대우조선 노사의 고통 분담 등 정상화를 위한 나머지 전제 조건들은 거의 합의가 이뤄졌다.
기관투자가들이 채무조정안을 수용하고 오는 17~18일 열리는 사채권자집회에서도 같은 안이 통과되면 2조9천억원의 신규 자금이 지원되면서 대우조선은 숨통을 트게 된다.
이런 자율협약 방식의 정상화 방안 채택에 실패하면 대우조선은 P플랜(사전 회생계획 제도)으로 넘어가 사실상 법정관리 상태에 들어가면서 계약취소에 따른 손실 증가나 수주 위축, 신규 투입 자금 규모 증가 등 많은 변수를 안게 돼 회생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을 맞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