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원전 사고, 대피시간 꼬박 하루? 부산시 "5시간 반이면 가능" 주장

고리원전 전경. (사진=자료사진)
고리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반경 20㎞ 밖으로 주민을 대피시키는데에만 꼬박 하루가 걸리는 등 사고 대응체계가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환경단체 기자회견에 대해 부산시가 실제 주민대피 시간은 5시간 반 가량에 불과하고 단시간에 걸친 방사능 대량 누출 가능성도 크게 낮다며 반대 주장을 펴고 나섰다.

부산시는 9일 해명자료를 통해 부산환경운동연합과 원자력안전연구소 등이 8일 발표한 고리원전 사고를 가정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 반박했다.

먼저 고리원전에서 대형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극심한 교통 정체가 발생해 반경 20㎞ 밖으로 대피하는 데에만 22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현행 국가방사능방재체계는 동시 대피가 아닌 단개별 주민 대피 방안을 시행하고 다양한 대피 수단을 운영하게 된다며 이럴 경우 보수적으로 평가해도 주민 대피에는 5시간 반이 소요된다고 주장했다.

시는 최초 적색비상이 발령하면 '예방적보호조치구역'인 원전 반경 5㎞ 이내 주민만 최우선으로 대피시킨다고 밝혔다.

긴급보호조치계획구역(5.1㎞~21㎞내) 주민들은 건물 내 대피와 갑상선방호약품 복용 등의 점진적 보호조치를 받은 뒤, 환경방사선 탐지 및 방사선 영향평가 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대피 절차를 밟게 된다는 설명이다.


시는 원전 사고시 즉시 대피 인구를 170만 명(부울경)으로 과다하게 선정해 평가한 것은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주민소개시간 산정지침을 준수하지 않고 잘못 적용한 것이라며, 실제 대피인구는 81만 명 정도라는 반론도 폈다.

"부산·울산·경남 양산시 주민이 동시에 부울고속도로와 해운대 만덕터널 등으로 대피하는 가정은 오류"이며, "부산시는 서남방향으로, 울산은 북·북동 방향으로, 경남 양산은 북서방향으로 분산 대피하는 계획이 수립돼 있다"고도 덧붙였다.

대피의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청색비상'단계부터 교통통제소와 출입통제소를 설치·운영하고, 자가용과 버스·철도·해상선박 등 다양한 대피수단을 활용해 차량정체를 최소화하는 대책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의 도심인 서면 중심가의 경우 사고 24시간이 지나도 10% 정도의 시민이 대피를 하지 못할 것이라는 환경단체 주장에 대해서도 "서면은 원전 반경 27㎞ 지점에 떨어져 있어 중대사고가 아니면 즉시 대피지역이 아닐 뿐 아니라, 단계별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차량정체나 대피지연 대책을 반영하면 제때 대피가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또 국내 원전은 후쿠시마 원전과 다르게 최소 1m 20㎝ 이상 두께의 격납건물과 피동형 수소제거장치 등을 갖춰 격납건물이 파손되더라도 대량의 방사성물질이 짧은 시간에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은 극히 낮아 모든 시민을 동시 대피시킬 필요성은 없으며, 확장된 31번 국도와 동해 남부선의 개통 등으로 대피시간은 더욱 단축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시는 환경단체와 원자력안전연구소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검증하는 행사를 3월 중에 추진하는 한편, 원전사고 행동 매뉴얼과 주민대피 시나리오 등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원전사고 대응능력을 키우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