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발효 5년, 양국 모두 상대국 시장 점유율 증가

수출입 활용기업 79.5%, ’한미 FTA가 자사 경영에 도움’

(사진=자료사진)
한미 FTA 발효 이후 지난 5년간 세계교역 둔화 등 악화된 대외 여건 속에서도 한국과 미국의 상대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동반 상승하는 윈-윈(win-win)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은 ‘한미 FTA 5주년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미 FTA 발효 이후 5년 동안 세계 교역과 한국의 대세계 교역의 연평균 증가율이 각각 –2.0%, –3.5%를 기록하며 감소세를 보인 반면, 한미 교역은 연평균 1.7% 증가하면서 한미 FTA가 양국 교역의 버팀목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이같은 교역 확대에 힘입어 미국의 한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발효 전인 2011년 8.50%에서 2016년 10.64%로 2.14%p 상승해 2006년 이후 1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도 발효 전 2.57%에서 2016년 3.19%를 기록하며 5년간 0.62%p 상승하면서 양국 모두 FTA를 통한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 수지 측면에서는 한국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와 서비스수지 적자가 함께 늘었다. 한국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는 발효 전 116.4억 달러에서 2016년 232.5억 달러로 5년간 116.1억 달러 증가했다. 반면, 서비스수지 적자는 2011년 109.7억 달러 적자에서 2015년 140.9억 달러 적자로 31.2억 달러가 늘었다.

이를 종합한 2015년 기준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117.2억 달러 수준이다. 투자 측면에서 발효 후 5년간 한국의 대미 투자는 511.8억 달러에 달해 미국의 대한국 투자액 201.6억 달러 대비 310.2억 달러를 상회했으며, 대미 투자 확대에 따라 미국 내 한국 기업의 고용인원도 4만 7천명(2014년)으로 증가했다.

한국의 대미 수출은 발효 5년간 미국의 경기회복 등으로 FTA 수혜/비수혜 품목이 고르게 증가했다. 단, 발효 5년차인 2016년에는 미국 측 2.5% 관세가 철폐되며 기대를 모았던 승용차 수출이 해외생산․판매 확대 및 태풍에 따른 국내 생산 차질로 감소하면서 FTA 수혜품목 수출은 전년대비 6.0% 감소했다.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곡물, 사료 등 미국 내 작황의 영향을 받는 주요 품목의 수입이 줄면서 지난 5년간 연평균 0.6% 소폭 감소했으나 한국의 대세계 수입(연평균 –5.0% 감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특히 승용차, 의약품 등 미국측 주요 품목의 점유율 확대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관세가 철폐된 미국산 승용차는 국내 소비자의 수입 자동차 선호 확산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37.3% 증가하면서 점유율이 발효 전 9.6%에서 2016년 18.1%까지 상승했다. 의약품 수입도 발효 후 약 8%의 관세가 철폐되면서 연평균 12.9% 증가했으며, 국내 생산이 미미한 일부 농수산물(아보카도, 바닷가재 등)에서도 수입이 증가했다.

한편, 한미 FTA 발효 5년을 맞아 무역협회가 대미 수출입업체 487개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수출입 업체 모두 FTA에 대한 만족도와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68%가 FTA를 활용하고 있으며, 활용 경험이 있는 기업의 79.5%가 FTA가 기업경영 및 수출입 확대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변했다. 특히 수입에 FTA를 활용하는 업체의 만족도(86.8%)가 수출활용 기업의 만족도(79.3%)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협회 통상연구실 정혜선 연구원은 “발효 이후 5년 간 한미 FTA를 기반으로 양국이 호혜적 성과를 달성해왔다”고 평가하며, “향후에도 FTA 활용 제고와 상호 투자확대를 통해 양국 간 무역이 확대 균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