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16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월평균 소득은 439만 9천원, 지출은 336만 1천원으로 집계됐다. 물가상승분을 감안하면 소득과 지출 모두 일년전에 비해 감소한 수치다.
특히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44만 7천원으로 일년전보다 5.6%p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 역시 120만 1천원으로 6.2%p 줄어들었다.
하지만 월평균 소비지출은 126만 8천원으로 1.1%p 감소하는 데 그쳤다. 이러다보니 실제 씀씀이를 보여주는 '평균소비성향'은 5.4%p 늘어 105.6%를 기록했다.
가처분소득에서 얼마나 소비지출했는지를 보여주는 평균소비성향이 100%를 넘어섰다는 것은 지출이 소득보다 많은 '적자 가계'로 돌아섰음을 의미한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전체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69.7%를 기록,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저이자 사상 첫 60%대로 내려앉았다.
이같은 흐름은 저소득층이 허리띠를 아무리 졸라매도 소득 자체가 줄어들고 물가는 뛰면서, 저축은커녕 지출을 감당하기조차 버거워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1분위 가구의 지출 가운데 식료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4%나 됐고, 주거·수도·광열 비용도 17.0%에 달했다. 또 보건비도 10.6%나 됐지만 교육비는 5.8%, 오락문화 비용은 4.3%에 그쳤다.
2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91만 4천원, 소비지출은 196만 7천원으로 평균소비성향은 80.3%였다. 3분위는 평균소득 401만원에 평균소비성향 75%였고, 4분위는 527만원에 70.4%였다.
반면 식료품 비중은 11.1%에 불과했고, 주거·수도·광열비도 8.4%였다. 평균소비성향 역시 59.9%로 일년전보다 오히려 0.5%p 감소했다. 소득이 갈수록 늘어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낮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5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가운데는 교육비도 13.0%나 됐다. 월평균 소비지출 398만원 가운데 51만 7천원을 사실상 '부의 대물림'을 위한 투자에 쓰고 있는 셈이다. 1분위 가구가 생존을 위해 20% 이상을 할애한 식료품비 27만 4천원의 두 배에 이르는 액수다.
이러다보니 대표적 분배지표인 '소득 5분위 배율' 역시 4.48을 기록했다.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2008년 4.98배를 정점으로 매년 줄어들던 배율이 일년전의 4.22에서 8년만에 다시 반등한 것으로, 소득의 빈부 격차가 한층 벌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지난해 1분기엔 소득 5분위 배율이 5.02로 일년전보다 0.16 올랐고, 2분기와 3분기에도 각각 4.51과 4.81로 0.32~0.35씩 올랐다.
2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한 이번 통계에서 빠진 1인·농어촌 가구까지 집계한 소득 5분위 배율과 지니계수 등 분배지표는 오는 5월말 공개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줄고 영세자영업자 경쟁이 심화되면서 1분위의 근로․사업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구조조정 업종과 청년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