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무역원활화협정은 164개 회원국 중 2/3이상에 해당하는 112개국이 수락해 22일(제네바시간)에 발효됐다.
무역원활화협정은 통관규정의 투명성 강화, 통관절차의 간소화, 세관당국 간 정보교환, 對개도국 우대 등을 규정해, 통관의 신속화 및 무역비용 감소를 통한 국가 간 교역 확대를 목표로 추진됐다.
무역원활화협정은 1995년 WTO 설립 이후 최초로 타결된 다자간 무역협상이며, 특히 개도국 및 최빈개도국에 대해 이행능력에 따라 이행의무를 부여하고 선진국의 지원 규정을 도입했다는 점에서 WTO 역사 상 중요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WTO는 무역원활화협정 발효시, 전 세계적으로 평균 14.3%의 무역비용이 감소하고, 수출 1조불 증가, GDP 성장률 0.54% 증가를 전망했다.
국제상의(ICC)와 피터슨연구소(PIIE)는 무역원활화협정 발효 시, 전 세계적으로 1조 달러 이상의 수출 증가와 2000만 개 이상의 고용창출 효과를 전망했다.
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무역원활화 조치를 통한 잠재적 무역비용 감소를 저소득국 14.5%, 중하소득국 15.5%, 중상소득국 13.7%, OECD국가 11.1%로 전망했다.
WTO 무역원활화협정의 발효로 WTO 회원국, 특히 개도국의 통관절차가 개선되고 무역비용이 감소돼 우리 기업의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우리 중소기업이 개도국에 수출하는 경우에 겪었던 과도한 통관절차와 비용, 지역별로 다른 통관 규정, 자의적인 품목분류에 따른 부당한 관세 징수, 신선식품의 통관 및 검역 소요시간 지연 등의 통관애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회원국들이 무역원활화협정 상의 의무를 완전히 이행하면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 수출도 3.34%∼6.49% 늘어날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정부는 무역원활화협정 이행의 일환으로, 한국 선진 통관행정의 강점분야를 위주로 개도국의 관세당국자를 초청해 무역원활화협정이행을 위한 능력배양 및 현지 기술지원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WTO 무역원활화협정 국·영문본 및 해설서는 각각 산업통상자원부 통상협상 관련 홈페이지 및 관세청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WTO 무역원활화협정은 지난 2013.12월 제9차 WTO 각료회의에서 타결됐으며, 2014년 11월 WTO 일반이사회에서 무역원활화협정을 WTO 협정에 편입하기 위한 의정서가 채택됐다.
이후, 각 회원국은 동 의정서를 수락하기 위한 국내절차를 진행해 우리나라는 2015년 7월 WTO 회원국 중 10번째로 의정서를 기탁했으며, 22일 르완다, 오만, 차드, 요르단이 추가로 기탁하면서 무역원활화협정이 발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