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직원부터 정리"…전경련, 생존 카드 만지작

회원사 탈퇴·입주사 철수 최대 80% 해고 가능성…"임원들 못믿어 각자도생"

(사진=황진환 기자)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해체 압박을 받고 있는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일반 직원들을 주 타깃으로 한 대규모 구조조정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의 구조조정은 예견된 일이지만, 이번 사태에 직접적인 책임이 없는 일반 직원들에 대한 사실상의 대규모 강제해고를 검토중인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전경련 내부 사정에 밝은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전경련이 조직을 유지해 나가기 위해 구조조정안을 마련중"이라며 "이 안 중에는 젊은 직원들을 대거 구조조정하는 방안이 포함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현재 전경련에는 직원 150여 명과 유관기관 직원 100여 명을 합쳐 총 250여 명이 일하고 있다.

회원사들의 탈퇴가 잇따르는 최악의 경우 구조조정 규모는 전체 직원의 80% 가량인 200명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 직원 A씨는 이에 대해 "일반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공식적인 구조조정 통보는 아직까지 없지만, 대규모 해고 소문은 오래전부터 내부에서 돌고 있다"며 "일반 직원들만 거리로 내몬다면 상당한 반발을 불러올 것"이라고 말했다.


전경련의 한 간부는 구조조정과 관련해 "지금 당장 구조조정을 단행할 계획은 없다"면서 "차기 회장이 선임되면 새 사령탑을 중심으로 쇄신안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사진=윤창원 기자)
◇ 부채 3300억, 한해 수익 그해 소진 '주먹구구' 경영…"일반 직원 구제 방안 찾아야"

재계와 주요그룹들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과 현대기아차, LG, SK등 4대 그룹이 전경련에 낸 회비는 전체 회비(480억원)의 70% 가량인 3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회원사 탈퇴를 결정한 4대 그룹이 회비 납부를 공식 중단하고 다른 회원들이 뒤따를 경우 전경련의 정상적인 운영은 어려워진다.

전경련 회관에 입주해 있는 업체들의 철수 여부도 중요 변수 중 하나다.

현재 전경련 회관에는 LG그룹, 한화그룹의 계열사 등 기업체와 음식점 등 총 14개 업체가 각각 수억에서 백 수십억 원 가량의 입주금을 내고 입주해 있다. 이 중 LGCNS가 올 하반기 서울 마곡지구로 철수하는데 이어 다른 일부 입주사들도 상황에 따라 철수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입주업체 측 관계자는 "입주금 규모는 영업비밀이라 말해줄 수 없다"면서 "여러 가지 변수가 있지만 철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경련은 여의도 사옥을 지으면서 사옥 건설에 필요한 자금 4천억 원을 대출로 마련했는데, 지난해 말 현재 3천3백억원이 부채로 남아있다.

전경련은 회원사 회비 480억원, 건물 임대료 420억 등 연간 총 수입은 9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임대료 420억 중 320억원은 건물관리에 사용되고, 나머지 100억원 정도가 수익으로 잡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연간 수익 대부분을 그해에 모두 사용해 유보 현금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고 전경련 관계자는 설명했다.

입주사들이 철수할 경우 재정적 위험성은 더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경련이 조직을 해체하거나 축소하더라도 일반 직원들을 구제할 방안은 반드시 찾아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 (사진=윤창원 기자)
그러나 '실세' 이승철 부회장이 일반 직원들을 구제하는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는 직원들은 거의 없다.

전경련의 한 관계자는 "이 부회장은 조직내 자기사람 심기에 공을 들여온 사람"이라며 "직원들 사이에서는 (구조조정을 단행하면) '각자도생' 해야한다는 기류가 강한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경제 단체의 한 고위인사는 "전경련 일반 직원들은 현 사태와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없는 만큼 조직 해체나 구조조정을 단행한다면 기존 회원사들이 이들을 나눠서 받아들이는 것도 문제 해결의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