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국내 대형 건설사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시공에 참여하는 이 아파트도 중도금 대출 은행을 찾는데 난항을 겪고 있다.
중도금 대출 일자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일반분양 물량이 2천 가구를 넘는 등 대출액 규모가 크다 보니 시중은행들이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복수의 은행들과 협의를 진행 중이지만 조건이 매우 깐깐하고, 여러모로 복잡한 상황"이라는 것이 시공사 관계자의 얘기이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의 증가를 막기 위해 대출 문턱을 높이자, 시중은행들이 규제하기 쉬운 아파트 중도금과 잔금 등 집단 대출 조이기에 나서고, 이에 신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대형건설사까지도 중도금 대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반 분양 물량 '완판'도 시공사의 신용도 중도금 대출과 큰 상관이 없는 셈이다.
특히 이 아파트 조합원들에게 돌아간 선분양 물량의 경우, 시중은행과의 대출 협의가 무산됨에 따라 제2금융권인 지역단위농협을 통해 개인 신용대출을 하게 됐고, 금리도 연 4.7%로 올라갔다.
여기에다 지난해 10월 이후 분양된 세종시와 대전 관저, 화성 동탄 2신도시의 신규 아파트도 모두 중도금 대출 은행을 찾지 못했다.
중소 건설사들이 시공을 맡는 지방 아파트 현장이 중도금 대출을 둘러싸고 겪고 있는 어려움은 더욱 더 큰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은행들의 중도금 대출 기피 현상이 계속되면서 3% 초중반이던 중도금 대출 이자도 최근 연 5%대까지 치솟은 상황이다.
건설사들은 무엇보다 은행들의 중도금 대출 기피가 신규 분양 시장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우선 앞으로 2년 동안 나올 전국의 아파트 입주 물량은 90년대 1기 신도시 이후 최대 물량인 78만 가구로, 일각에서는 ‘아파트 소화불량’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주택 공급이 많다.
게다가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신반포 리오센트와 방배 아트 자이 등 강남의 요지에서도 미분양 아파트가 나와, 이른바 '강남불패'가 흔들리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일반 분양 물량에 대해 아파트 중도금 후불제 등 중도금 대출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신규 분양을 이어갈 방법이 없다"며 "정부가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을 위해 대출 규제를 하고 있지만, 자칫 잘못하다가는 미분양 아파트가 속출해 주택 경기가 경착륙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의열 한국주택협회 실장은 "집단대출은 전체 가계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미만이고 연체율도 작년 8월 기준 0.38%로 상당히 낮은 수준인데도 부실 리스크와 대출 비중이 큰 사업자금 마련 주택담보 대출이나 신용대출은 제외하고 규제가 손쉬운 집단 대출만 옥죄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