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인도'는 천경자 화백의 1977년 작품으로 1991년부터 26년 간 '위작'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위작'으로, 천 화백 측은 '위작'으로 주장하는 가운데 과학 감정 결과도 상반됐다. 프랑스 감정기관인 뤼미에르 테크놀로지는 위작, 국내 검찰과 국과수는 진작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그것이 알고 싶다'는 천 화백 본인과 유가족 모두 자신의 작품이 아니라고 밝히고 있음에도 국내 기관에서만 늘 '진작'이라는 결론이 나는 배경에 대해 추적했다.
'그것이 알고 싶다'는 △한국의 감정시장이 자신들의 위치를 위해 △김재규 전 부장을 부정축재자로 만들기 위해 이같은 일이 벌어졌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이날 방송에서는 김재규 전 부장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려는 부분이 눈에 띄었다. 검찰은 천 화백의 '미인도'가 진작이라는 증거로 김 전 부장의 환수재산목록을 제시하고 있는데, 천 화백과 가장 많은 그림을 거래한 화랑 대표와 김 전 부장 개인비서 최종대 씨의 증언을 통해 설득력이 떨어지는 주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그것이 알고 싶다'는 김 전 부장이 매우 검소하게 살았는데 국가가 압수한 재산 목록이 너무 많았고, 이때 합동수사본부는 집에 있던 낡은 집기까지 챙겨갔다는 주변 증언을 전했다. 그러나 당시 언론은 공금 10억원을 횡령했다는 등 김 전 부장을 부정부패한 인물로 그리는 데 기여했다.
제작진은 "10·26 당시 김재규 곁에서 그를 돕다 함께 사형당한 이들은 5명이다. 그들은 다시 그 순간이 와도 상관 김재규의 명령을 따랐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형 집행 전날 김재규는 가족들에게 자신 때문에 목숨을 잃게 된 부하들의 가족을 챙겨달라고 부탁했다"고 말했다.
김 전 부장은 독재를 끊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박 전 대통령을 저격했다고 밝혔으나 이는 당시 언론에 전혀 등장하지 않았다. 오히려 합동수사본부는 김 전 부장이 정책 건의 면에서 대통령에게 불신받았고 업무 집행상 무능으로 질책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제작진은 "신군부가 짠 '부정축재자의 정권 찬탈 시도'라는 프레임에 갇혀 (김재규라는 인물이 제대로) 세상에 전해지지 않았다"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김재규의 모습은 정권을 잡은 승자들이 독식해 벌인, 온전하지 못한 역사의 한 부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21일 방송된 '그것이 알고 싶다'는 닐슨코리아 전국 기준 시청률 10.3%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