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2일 만3세 이상 69세 이하 스마트폰 이용자 1만가구 24,386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 대인면접조사를 통해 실시한 '2016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전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잠재적위험군)은 17.8%(7,426천명)로 전년(16.2%) 대비 1.6%p 상승하였으나 증가세는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청소년(만10~19세)은 30.6%(1,649천명)로 전년(31.6%)보다 1.0%p 감소했다.
반면, 유아동(만3~9세)은 17.9%(591천명)로 전년의 12.4%에 비해 5.5%p나 증가했다.
성인(만20~59세)은 16.1%(4,826천명)로 전년의 13.5%보다 2.6%p 증가했으며 금년 처음으로 조사한 60대 과의존위험군은 11.7%(360천명)로 나타났다.
가구원수별로는 1인 가구의 고위험군이 3.3%로 가장 높았고, 3인 이상 가구의 잠재적위험군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과의존위험성에 대한 부모-자녀간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부모가 과의존위험군인 경우, 유아동 자녀가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23.5%, 청소년 자녀가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36%로 높게 조사됐다.
스마트폰 주 이용 콘텐츠로는 메신저(94.5%) 이용이 가장 많았고, 게임(81.3%), 웹서핑(73.7%), SNS(65.0%)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부작용이 우려되는 콘텐츠로는 게임(35.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과의존위험군 대상으로 처음 실시한 스마트폰 순기능 조사에서는 지식역량강화(56.1%), 가족․친구 관계돈독(54.7%), 사회참여 및 공헌활동(44.7%)을 하는 것으로 응답하여 순기능에 대한 평가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미래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2017년도 인터넷․스마트폰 바른 사용 추진계획을 수립해 2월말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