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두 사람의 힘겨루기는 반 전 총장이 귀국과 동시에 내건 '정치교체'라는 캐치프레이즈가 도화선이 됐다.
반 전 총장은 "정권을 누가 잡느냐의 정권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금은) 정치교체가 이뤄져야 할 때"라며 제도 개선을 통한 '정치 업그레이드'를 강조하고 나섰다.
그러자 문 전 대표는 "정치교체는 정권교체로만 가능하다"고 맞대응하면서, 정권교체가 아닌 정치교체를 말하는 것은 '박근혜 정권의 연장'이라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2012년 대선후보 때 "정권교체 수준을 넘는 정치교체와 시대교체로 새로운 시대, 국민행복시대를 열겠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정치교체'라는 말은 故 노무현 전 대통령도 강조했던 메시지다. 실제로 故 노 전 대통령은 2002년 대선후보 때 "정권을 바꾸지 말고 정치를 바꾸자. 우리는 선수교체와 정치교체를 통해 국민에게 새 희망을 안겨주겠다"고 말했다.
이유야 어찌됐든 정권교체, 정치교체, 시대교체, 세대교체와 같이 '교체(交替)'라는 표현이 정치권의 이슈가 된 것은 바야흐로 대선이 다가왔음을 의미한다. 선거를 앞두고 으레 등장하는 이른바 '바꿔 열풍'의 연장선인 것이다.
더욱이 주목할 점은 지금의 탄핵정국에서 '정권교체'와 '정치교체' 가운데 어떤 화두가 더 정치적으로 확장성을 갖느냐이다.
이에 맞서 반 전 총장은 '반(反) 문재인'의 정파간·지역간 연합을 위해 개헌을 연결고리로 한 '정치교체'를 강조하며, 기존 정당에 입당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그러나 귀국 이후 반 전 총장의 언행이 잇따라 구설에 오르면서 그가 내건 '정치교체'가 얼마나 큰 반향을 일으킬 지는 미지수다.
이제 한 두 마디 정치적 수사(修辭)로는 대통령 탄핵을 불러온 1천만 촛불 민심의 호응을 받을 수 없다.
정권교체든 정치교체든 절박함과 진정성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