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시민혁명 이후의 변화된 시대정신을 이어받는 혁신은 분권과 자율의 원리를 어떻게 교육 영역까지 확장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나타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촛불 시민혁명의 사회개혁 요구에는 사회적 불평등과 격차 해소라고 하는 큰 시대정신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시대정신이 가장 절박하게 실현되어야 할 곳이 바로 교육 분야입니다."
조 교육감은 "촛불 시민혁명은 거대한 시대정신의 전환을 내포하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구시대적 '박정희 패러다임'으로 대응했기 때문에 탄핵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정희 패러다임을 넘어 산업화-민주화 이후의 패러다임과 가치에 기초한 새로운 국가, 새로운 사회, 새로운 교육을 실현하는 것이 현단계 우리의 과제"라고 말했다.
기자회견 내내 조 교육감은 '촛불 시민혁명'을 강조했고 배포한 18쪽 회견문에도 '촛불'은 무려 21번이나 거론됐다.
이어진 새해 업무계획에도 이같은 '촛불'이 구체화돼 반영됐다. 예를 들면 '2016 촛불세대'를 위한 사회참여 기반 토론수업을 강화하기로 한 것. 이를 위해 교육청은 교육과정 범위 안에서 사회현안에 대한 토론수업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촛불'의 핵심이 '분권'과 '자율'에 있다고 보고 학사행정에 학생들의 참여를 적극 보장하기로 한 것도 특징이다. 학생을 교육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교복 입은 시민'으로 규정해 민주사회의 주체적인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학교운영위원회에 학생들의 참여를 적극 보장하고, 학생회 운영비를 학교당 50~100만 원씩 지원하고, 이 예산은 학생들이 심의하도록 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