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태권도원 등에 따르면 태권도 동작 등을 체험하는 태권도 실전체험관은 지난해부터 문이 닫힌 채 가동이 되지 않고 있다. 또 태권도 관련 3D 입체 영상을 관람할 수 있는 영상실 역시 반년 넘게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2014년 4월 국가 예산 2400억 원을 들여 조성했고,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 2만 명을 비롯해 27만 명이 찾았지만 부실한 시설 관리가 자칫 태권도 종주국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부분이다.
설상가상으로 태권도원의 과장급 직원은 객실 사용료 등 억대의 공금을 개인적으로 받아 챙기다 덜미를 잡혔다.
경찰에 따르면 태권도원 마케팅부 과장 김 모(42) 씨는 올해 3월부터 10월 사이 이벤트 업체 등을 압박해 태권도원 내 객실 사용료 등 1억1400여만 원을 개인 계좌로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객실 예약과 시설 사용 등을 담당하는 김 씨는 차등 예약 등으로 업체를 압박해 공금을 직접 받아 채무 변제 등에 썼으며 문제가 불거지자 횡령한 공금을 모두 갚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경찰서는 이날 횡령 등의 혐의로 김 씨를 입건해 불구속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허술한 시설과 조직 운영에 대해 태권도원 측은 잘못을 인정하면서도 억울한 점이 있음을 하소연했다.
태권도원 관계자는 "여러 시설 중 한 분야인 체험관 4곳 가운데 1곳이 문제가 있는데 태권도원 전체의 문제로 비춰지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태권도 실전체험관은 와이어를 사용해 공중에서 동작을 하는데 안전진단 상 문제가 있어 대체시설을 논의 중인 상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부족한 운영비로 허덕이는 태권도원의 실상이 이런 결과를 초래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태권도원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매년 200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개원 초기부터 운영비 부족 등으로 하드웨어는 있지만 콘텐츠가 부족한 '깡통시설' 지적이 있어왔다.
태권도원 관계자는 "200억 원 예산 중 용억업체 인건비와 직원 급여, 각종 사업비 등을 지급하면 예산이 거의 남지 않는다"며 "건립 초기 핵심시설이었던 상징지구의 경우 올해에 와서야 겨우 건립비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태권도원은 크게 체험공간, 교육공간, 상징지구로 나뉘며 상징지구는 태권도 최고수들을 위한 명인관과 태권전 조성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사업비로 176억 원이 필요하지만 재원을 마련하지 못했다가 지난해 국기원, 대한태권도협회, 전북, 무주 등이 기금을 내놓기로 협의하고, 올해 국회에서 70억의 예산이 편성되면서 비로소 예산이 모두 모였다.
태권도인들 사이에서는 수백억 원이 불법 모금된 미르, K스포츠재단과 달리 빠듯한 운영 예산에 허덕이는 태권도원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