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을 대행하더라도 정부 컨트롤타워는 사실상 공백 상태다.
따라서 그동안 추진됐던 모든 금융·경제 정책은 당분간 현 상황을 유지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던 성과연봉제도 시행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성과연봉제는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정부 추진 동력 상실, 정책컨트롤타워 부재, 노사협상 난항 등으로 사실상 좌초될 위기다.
민간 금융기관 뿐 아니라 내년부터 시행 예정이던 금융공기업 도입 역시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 금융권 수장 인선도 '올스톱'
금융권 수장 인선 작업도 '올스톱'됐다.
내년 1분기까지 임기가 끝나는 IBK기업은행장,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한국수출입은행장 등 금융 공공기관 수장의 인선이 차질을 빚게 됐다.
기관장 임기가 가장 먼저 끝나는 공공기관인 기업은행은 신임 행장 선임 연기가 불가피하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일단은 인사가 늦어질수도 있는 부분이 있어 여러 가지 상황에 대비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 1월 임기가 끝나는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선임도 상당 기간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 공공기관장은 기획재정부 장관이나 금융위원장이 제청하면 대통령이 임명한다.
그러나 최종 임명권자인 대통령 직무가 정지되면서 후임 기관장 인선 절차도 불투명해졌다.
탄핵 가결로 어수선한 정국에서 총리가 임명권을 제대로 행사할 수 있겠느냐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당장은 절차가 진행되기가 어렵다"며 "기존 절차 그대로 가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줄줄이 임기 끝나는 은행권 인사도 '변수'
최고경영자(CEO)들의 임기가 줄줄이 끝나는 은행권도 큰 폭의 변화가 예상된다.
이달 30일인 이광구 우리은행장 임기는 신규 과점주주들이 지배구조를 정비하기 위해 내년 3월로 연장됐다.
내년 3월에는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은행장의 임기가, 4월에는 김용환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의 임기가 끝난다.
탄핵에 이어 대선도 앞당겨지면서 은행권 인사도 한치 앞도 볼 수 없는 상황에 빠졌다.
은행들은 앞으로의 상황에 촉각을 세우며 임기 연장 등에 대비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공공기관장 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변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치적인 상황을 보며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