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추진단 문화창조융합본부 핵심 관계자는 CBS노컷뉴스 취재진과 만나 "민정수석비서관실에서 차 전 단장이 물러난 직후인 올 4~5월쯤 차 씨 관련한 것들을 알아보기 위해 수시로 찾아왔다"며 "그는 주로 문체부 소속 김 모 팀장과 만나 차 전 단장과 관련한 내용을 주로 캐묻고 갔다"고 말했다.
이어 "김 팀장은 문체부 김종 차관의 영향력 하에 있던 사람으로 추진단 내에 정평이 나 있었다"며 "(차 씨가 문제 없다는 취지의) 듣고 싶은 얘기만 듣고 갔는지, 김 팀장이 민정실 관계자를 만나고 온 뒤에는 항상 밝은 얼굴로 주변에 별 일 없었다며 민정실에서 다녀갔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차은택 라인'으로 채워졌던 추진단에서 차 씨가 단장직을 내려놓은 배경이 관련 비위 때문이었을 가능성도 높다.
민정실은 이때 박근혜 정부의 문화융성 기조에 맞춰 최순실 씨가 설계하고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에서도 차 씨의 비위가 있었는지 살펴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미 비위 여부를 알고 있었거나 알고도 묵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이 시기는 최초 언론 보도가 이뤄진 7월보다 훨씬 앞선 4~5월이다. 이석수 전 대통령 특별감찰관이 미르·K스포츠재단 관련 비위 행위에 대한 감찰에 착수한 때이기도 하다.
이 전 감찰관은 당시 '청와대와 연관 있는 두 재단에 대기업들이 거액의 돈을 내고 있다'는 첩보를 중복해 접한 뒤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감찰관은 7월 18일
만약 민정실이 이 전 감찰관의 감찰행위를 방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단 관계자들을 접촉했다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로 볼 수 있다는 것이 법조계의 해석이다.
아울러 민정실에서 다른 직원들보다 유독 추진단에 파견된 문체부 직원을 만나 차 씨의 비위행위 여부 등을 물었다면, 민정실과 문체부가 사전에 차 씨의 비위와 관련해 입을 맞췄을 가능성도 있다.
이와 별도로 차 씨와 관련해 해당 직원에게 보고 받고 있었을 문체부 역시 모든 내용을 속속들이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관계자는 "돌아보면 누가 차 씨 등에게 불만을 가지고 있었나 (민정실에서) 캐고 다닌 것 같다"고 전했다.
민정실과 수시로 접촉한 것으로 지목된 해당 문체부 소속 김 팀장은 CBS노컷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할 말이 없다"고 끊어버렸다. 이어 '민정실과 문체부의 사전조율 여부'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책임 있는 기사를 쓰기 바란다. 민정과 차 감독 관련해 이야기 한 적 없다"고 메시지로 답했다.
한류테마파크, K-컬처밸리 등을 골자로 하는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에는 2019년까지 7000억 원이라는 대규모 정부 예산이 편성됐다. 차 씨는 2014년 8월 박근혜 정부 문화융성위원으로 참여했고, 최순실 씨는 이때 예산 400억 원 규모 문화창조융합센터 보고서를 작성했다.
차 씨는 지난해 4월 3일부터 올 4월 7일까지 문화창조융합본부장 겸 창조경제추진단장으로 근무했고, 후임인 여명숙 전 단장은 올 4월 8일 임명됐다가 한달 반만인 다음달 31일 경질됐다. 그해 6월 1일 임명된 박명성 단장은 차 씨 측근으로 분류돼 물의를 빚고 최근 사임했다.
차 씨가 단장으로 재직하던 시기 문체부 내부에서조차 차 씨가 K-컬처밸리 등 유치과정에서 각종 이권에 개입했다는 내부 고발이 나오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고발은 문체부와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실까지 보고됐지만 묵살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문체부는 차 씨의 은사 김종덕 장관이 이끌고 있었고, 교육문화수석도 차 씨의 외삼촌 김상률 수석이었다. 차 씨는 최근 검찰에서 김종덕 장관과 김상률 수석을 최순실 씨에게 자신이 직접 추천했다고 진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검찰 특별수사팀(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은 우 전 수석의 직무유기 혐의를 수사하는 데 있어 차 씨 관련 비위 행위를 언제부터, 어느 정도까지 민정수석실이 인지하고 있었는지에 집중 조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차 씨의 개인 회사의 이권챙기기나 대기업 일감 수주 뿐 아니라, 7000억 원이라는 대규모 정부예산이 투입된 문화창조융합본부 창조경제추진단 사업의 전횡 여부도 민정실이 알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될 경우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