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연구실 이신해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한 '서울시 주차요금 및 급지정책 개선방안'에 따르면 18년째 그대로인 요금 체계는 급지 체계에 묶여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급지와 요금이 일대일로 연결돼 급지만 같으면 주차 수요나 지가와 관계없이 같은 요금을 매기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샌프란시스코는 같은 급지라도 블록별·가로별·계절별·요일별로 요금을 달리하고, 뉴욕은 같은 구역이라도 시간대에 따라 차등하는 탄력 요금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연구위원은 서울도 같은 급지라도 공시지가를 기반으로 지역별로 요금을 달리해, 현실적인 수준의 주차요금을 산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예를 들어 같은 1급지라도 10분당 명동은 3천300원, 수유동은 1천770원을 받는 식이다.
그는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하려면 불법 주·정차 단속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주차요금과 연계해 지역별로 범칙금도 차등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도심·지역 용도·환승주차장 등을 기준으로 5개로 나눈 급지 체계 역시 대중교통 접근성 등을 기반으로 한 동심원 형태의 3개 급지로 단순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1급지는 사대문 주변 지역, 신촌, 영등포, 강남·서초, 잠실, 청량리 등 10곳으로, 교통 혼잡지역을 중심으로 선정돼 있다.
그러나 분류 기준이 여럿이다 보니 이용자가 알아채기 어렵고, 4급지로 지정된 지하철 환승주차장의 경우 환승이라는 본연의 기능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올해 서울시 조사에서 화랑대역·개화역·수서역 등 시내 환승주차장 11곳 주차량 2만2천여 대 가운데 실제로 대중교통과 환승한 차량은 1천600여 대에 그쳐, 환승 비율은 7.2%에 불과했다.
또 지하철 역세권이어서 대중교통 접근성이 높음에도 4급지로 설정돼 도리어 낮은 요금을 매기고 있다는 점 또한 고쳐져야 할 점으로 지목됐다.
이 연구위원은 이에 따라 기존 1급지는 유지하되, 지하철 환승역이나 서울시 주요 중심지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1급지로 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다만 환승역과 비환승역의 이용자 차이가 큰 만큼 환승역은 300m 이내, 비환승역은 100m 이내를 각각 1급지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급지도 그로부터 각각 500m·300m 이내를 동심원 모양으로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같은 새로운 기준을 토대로 하면 서울 전체 면적 가운데 1급지는 기존 10.9%에서 16.3%로 5.4%포인트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