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식 '통일공감포럼' 공동대표(전 통일부 차관)는 5일 오후 2시 CBS와 한반도평화연구원(KPI)이 공동주최로 '현 정부와 차기정부의 한반도 평화 정책 과제'라는 주제로 서울프레스센터에서 열리는 특별포럼에 앞서 미리 배포한 주제 발표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북한이 핵개발을 계속하면서 핵위협을 하고 있는 상황으로 인해 포용정책이 원래 구상대로 변함없이 추진되는데 큰 장애를 받고 있지만, 통일을 위한 노력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계속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통일은 한민족에게 당위적 측면에서나 현실적 측면에서 가장 큰 국익이기 때문에 핵문제 해결 노력과 동시에 통일을 위한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2014년 8월 통일교육원이 초중고 학생 12만여명을 조사한 결과,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한 학생이 53.5%로 나타났다.
2015년 서울대학 통일평화 연구원의 조사에 의하면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변이 50%에 접근하고 있다
김 대표는 "장래에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국민의 비율이 50%이하로 떨어지면 통일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될 지도 모른다"며 "젊은 세대가 통일의지를 갖도록 하는 것이 통일정책의 최우선순위로 이를 위해 국가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일은 통일 후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를 극복해 가면서 유럽 연합을 주도하는 최강국이 됐다. 남북한 주민간의 접촉과 소통, 동질성 회복에 기여하는 교류를 폭넓게 추진하여 민족정체성을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김 대표는 또 "이산가족의 상봉과 교류는 남북한이 하나의 민족이라는 것을 내외에 각인시키는 중요한 과정으로 민간차원에서의 인도적 지원을 활성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민족언어와 민족문화와 역사와 관련되는 문제, 국토환경 보전과 관련되는 문제, 체육행사 및 종교교류 등은 자율적으로 추진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 대표는 "경제협력은 민족동질성 회복의 강력한 과정이며, 남북한 공동번영을 이룩하여 여러 부문에서의 격차를 해소하고 통일비용을 낮출 수 있는, 통일의 사전준비"라고 지적했다.
본격적인 대규모 경협을 위해서는 재정이 대규모로 투입돼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국민들의 동의와 국제사회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 대표는 "이러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남북한이 대화를 통해 핵문제 해결 방안 등 한반도 정세의 긴장을 완화하는 조치를 구체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남북한 간 대규모 경제협력이 실행되기 전이라도 민간차원의 개발협력을 장려해 남북한 주민 간 민족정서가 통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김 대표는 "남북대화는 남북한 간의 소통과 긴장을 관리하는 채널로서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대화유지가 목적일 수는 없지만, 북한이 거부하지 않는 한 남북대화를 기피할 이유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적대적인 상황에서도 남북대화를 계속해 나가는 것은 남북한 간 특수관계를 내외에 각인시키는 길이 될 것이며, 이것이 한민족이 통일의 권리를 주장하는 하나의 과정이 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