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퇴치…약 안 듣는 '다제내성 결핵' 잡아야

"직장인 병가 등 현실적인 격리치료 환경 만들어야"

최근 이대목동병원과 삼성서울병원, 고려대병원 등에서 간호사들이 잇따라 결핵에 감염되거나 결핵 의심자인 것으로 드러나며 결핵에 대한 경각심이 새삼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 국민의 3분의 1이 잠복결핵 환자로 알려지며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이렇게 간단치 않은 질병인 결핵의 퇴치를 위해서는 약이 잘 듣지 않는 '다제내성 결핵'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14일 치료가 힘든 다제내성 결핵 환자의 관리가 이뤄져야 OECD 결핵 발병 1위 국가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결핵은 우리 몸속에 '결핵균'이 침투하면서 발생하는데 다제내성 결핵은 치료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약제인 이소니아지드(Isoniazid)와 리팜핀(Rifampin)에 내성을 갖는 경우다.


다제내성 결핵은 일반 결핵에 걸린 환자가 약을 간헐적으로 먹거나 복용량이 불충분해 결핵균이 내성을 갖게 되거나 처음부터 다제내성 결핵 환자에게 감염되면 발병하게 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14년 아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을 포함한 2개 이상의 항결핵약제에 대해 내성이 있는 결핵 환자는 856명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다제내성 결핵은 치료실패도 많고 치료 기간이 길어서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전체 결핵 발병률을 낮출 수 없다고 진단한다.

심태선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일반적인 결핵 치료 기간은 6개월이지만, 다제내성 결핵 치료는 1년 6개월에서 2년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치료성적도 좋지 않다"고 말했다.

심 교수는 "신약이 출시되고 치료비에 대한 정부지원이 확대되는 등 의료기술과 제도는 상당히 개선됐지만, 환자가 증상을 인지하고 치료를 꾸준히 받을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보건당국이 건강보험 재정으로 결핵 환자의 치료비를 무료로 지원하는 등 각종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감염을 차단하는 격리치료에 대한 보장은 부족하다는 것이다.

심 교수는 "초기 2주는 전염 가능성이 있어서 격리치료가 필요하지만, 환자가 거부감을 느끼거나 생계문제 등 현실적 문제가 걸려있어 잘 이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결핵은 법정전염병으로 2주간 강제입원이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환자를 병원에 잡아두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염호기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홍보이사(서울백병원)는 "환자가 치료에 집중할 수 없는 환경이 결핵 관리의 가장 큰 문제"라며 "직장인 중 치료를 위해 병가를 내겠다고 눈치 안 보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되겠느냐"고 말했다.

염 이사는 "의료비 등의 문제가 해결됐다고 하더라도 치료환경이 보장되지 않다 보니 결핵을 숨기고 복약을 제대로 못 하는 환자가 나오게 된다"며 "결국 이런 환자들이 다제내성 결핵으로 이어지고 결핵 퇴치가 힘들어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의료환경과 더불어 근로자의 결핵에 대한 병가 등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격리치료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사회제도와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염 이사는 "결핵에 걸리면 출산휴가와 마찬가지로 법적으로 병가를 보장해주고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이런 제도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인식 개선과 교육,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