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다대포진성에서 '해자' 흔적 최초 발견

임진왜란 3대 격전지, 해자 조사 시 임진왜란 유물 다량 출토 가능성

다대포진성 해자 흔적 (사진=부산박물관 제공)
부산 사하구 다대포진성지 주변 주택 신축공사 현장에서 성벽 외곽 방어용 도랑인 '해자(垓子)'의 존재가 최초로 확인돼 임진왜란 당시 유물이 대거 출토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부산박물관 문화재조사팀은 지난 6월 27일 다대포진성 주변 주택신축과 관련해 공사전 문화재 유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입회조사를 벌인 결과, 다대포진성 해자의 석축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팀은 다대포진성의 동북쪽 잔존성벽으로부터 약 10m 외곽 지표 아래 1m 지점에서 해자로 추정되는 외벽과 내벽석을 확인했다.

확인된 해자는 자연 토사면을 너비 4.8m 정도로 판 뒤 3.3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양쪽 가장자리를 석축으로 쌓은 형태를 띠고 있다.

해자의 외벽 아래에는 바닥에 깔았던 것으로 보이는 깬 돌 1단 정도가 남아 있었으며, 내벽의 석축은 모두 훼손되고 바닥 채움 돌만 확인됐다.

이 해자는 지난 1894년 민가가 들어서면서 해자 하부까지 이미 훼손된 상태며, 기와조각과 자기조각 외의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남아있는 석축의 상태로 미뤄 해자는 동서방향으로 이어져 최근 신축된 건물과 다대로의 건너편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대포진성지는 임진왜란 때 동래읍성 전투·부산진성 전투와 더불어 부산지역 3대 전투 현장으로, 첨사 윤흥신 장군과 그 아우 윤흥제가 결사 항전하며 최초 왜군을 물리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좌수영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는 국방의 요지로서, 처음에는 종4품 무관인 만호가 배치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승격돼 종3품의 수군첨절제사가 임명됐다.

현재, 다대포진성은 둘레 541.8m, 높이 3m 정도로 성벽이 양호하게 남아 있으나 대부분 민가가 밀집하고 있어 문화재로는 지정되지 않았다.

임진왜란 때 부산의 격전지인 부산진성은 함락 직후 파괴돼 남아 있지 않으며, 동래읍성은 민가 하부에 성벽의 기초만 남은 상태였다가 도시철도 3호선 수안동역 공사 과정에서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는 사람 뼈와 갑옷, 무기 등이 출토된 바 있다.

시립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해자 확인을 계기로 다대포진성 주변 해자를 조사하면 임진왜란 당시의 유물이 다량 출토될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면서 "현재 해자가 확인된 지역은 정밀 발굴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