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정명희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14일 부산시 건강체육국 업무보고에서 "연막소독에 사용하는 약품 259개 종류 가운데 63.3%인 164개에서 유독성 물질이 나왔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2001년 방역 약품의 유해성 문제가 제기된 이후 국립보건원이 17개 주요 약품의 독성성분을 공개했는데도 부산에서는 아직도 이를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연막소독에 사용되는 사이페메트린, 델타메트린, 페니트로티온, 에토펜프록스 등은 발암성 물질로 분류된 것으로 장기간 노출되면 신경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연막소독은 약품을 등유에 희석해 고열의 기화점에서 연기가 뿜어나오도록 하는 방식인데,그 과정에서 벤젠과 톨루엔 등 발암물질도 검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이 같은 문제 때문에 5∼6년 전부터 정화조나 하수구, 물웅덩이 등 분무소독을 하기 어려운 곳에 제한적으로 연막소독을 해야 하지만,부산시내 곳곳에서 여전히 연막소독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살충효과를 위해서는 해충이 약품에 최소 10초간 접촉해야 하지만 야외 연막 살포는 그렇지 못해 오히려 해충의 약품에 대한 내성만 키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부산시는 이처럼 문제가 있는 물질을 배출하지만 방역작업에 지난해에만 41억6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 건강체육국 김희영 국장은 "독성물질 사용은 제한하고 연막 소독의 효과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검토한 이후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