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포천시와 한국전력공사 등에 따르면 2014년 포천시 신북면 추동리에 1천450㎽ 용량의 포천복합화력발전소(LNG)가 가동을 시작한 데 이어 인근 계류리에 940㎽급 대우포천복합화력발전소(LNG)가 내년 2월 가동을 앞두고 있다.
또 2018년 신북면 신평리 장자산업단지에 유연탄을 사용하는 169.9㎽ 용량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신평2리에 생활폐기물 등을 태워 전기를 생산하는 고형폐기물연료(SRF)열병합발전소가 각각 건설될 예정이다.
인근 동두천시 광암동에도 수도권 최대규모인 1천800㎽ 용량의 동두천복합화력발전소(LNG)가 지난해 5월 가동을 시작했다.
반경 10㎞ 이내에 모두 5개의 발전소가 건립됐거나 건립 중에 있는 것이다. 이들 발전소는 모두 3㎽ 이상으로 산업통상자원부가 허가했다.
발전소가 무더기로 건립된다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된 주민들은 반발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알려진 석탄화력발전소에 이어 SRF발전소까지 들어서자 주민들은 발전소 건립 반대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포천은 지난해 미세먼지 농도 81㎍ 이상 '나쁨'이 1년 간 71일을 기록해 84일을 기록한 인천 남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대기질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수민 포천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도시가 거대한 굴뚝 속에 갇히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은 물론 엄청난 환경피해가 예상돼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천시의회도 최근 발전허가와 관련 허가취소 결의안을 채택하고 시민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실력 저지에 나설 뜻을 밝혔다.
발전소 인근 주민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계류리에 건설 중인 대우포천화력발전소와 울타리를 경계로 있는 한 석재공장은 전자파 우려 때문에 직원들이 떠나 공장 문을 닫을 처지라며 발전소 측과 수년째 갈등을 빚고 있다.
발전소 건립에 따른 송전선과 송전탑 건설도 문제가 되고 있다.
신북면 일대 임야에는 수십 기의 송전탑이 건설될 예정이다.
한전은 동두천복합화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수도권에 공급하기 위해 발전소에서 양주시 장흥면 변전소까지 36.7㎞ 구간에 2019년까지 모두 86기의 송전탑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양주시의회는 송전시설 지중화를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포천시 관계자는 "인허가 권한이 산자부에 있다 보니 지자체에는 사전 협의 없이 허가 사항 통보만 오고 있다"며 "가뜩이나 열악한 지자체에 기피시설이 잔뜩 들어서고 있는데, 국책사업이라 반대도 할 수 없는 처지"라고 하소연했다.
산자부는 전력 수요 증가에 대비해 민간기업에 발전소를 대거 허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