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전 사장의 연임 과정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와 이재오 전 의원 등 MB정권 실세들의 이름이 거론된 적이 있기 때문이다.
2010년 11월 국회 대정부질문 때 강기정 전 의원 발언에 따르면 남 전 사장은 2009년 1월 26일 이명박 대통령의 처남 김재정씨가 골프를 하다 쓰러진 뒤 입원하자 김 여사가 방문하는 날을 미리 알아내 부인과 함께 김 여사를 만났다.
이어 남 전 사장의 부인은 김 여사의 둘째언니 남편인 황태섭씨 주선으로 2월 초 청와대 관저에서 김 여사를 만나 남편의 연임 로비를 했다고 강 전 의원은 말했다.
그 직후 김 여사가 정동기 전 민정수석에게 "남 사장의 연임을 챙겨보라"고 지시해 정 전 수석이 2월 15일쯤 민유성 당시 산업은행장을 만나 김 여사의 뜻을 전달했고, 남 전 사장의 연임이 결정됐다는 것이 강 전 의원의 주장이다.
노무현정부 시절인 2006년 대우조선 사장 자리에 오른 남 전 사장은 이명박정부 들어 공기업 물갈이가 한창이던 2009년 이례적으로 연임에 성공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강 전 의원은 "이 과정에서 1천 달러짜리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수표 묶음이 김 여사와 황씨에게 전달됐다는 게 남상태 연임 로비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청와대 측은 "강 의원의 망언은 사실무근이며 묵과할 수 없는 발언"이라고 의혹을 부인했다.
대정문질문 때 이귀남 당시 법무부 장관 역시 "검찰은 루머에 대해 수사하지 않는다. 근거를 주면 보고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이후 의혹은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다.
검찰은 당시 대우조선을 둘러싼 의혹과 관련해 이 전 대통령의 친구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을 수사했는데, 강 전 의원은 김 여사 연루 의혹을 감추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 천 회장을 재판에 넘긴 검사가 현재 특수단의 주영환 팀장이다.
당시 검찰은 남 전 사장의 부인이 남 전 사장의 측근이자 대우조선 전무였던 건축가 이창하씨로부터 2004년 8월과 10월 각각 3천만 원과 4천만 원, 2007년 10월 남 전 사장의 유럽 출장 직전 2만 유로를 받은 정황을 포착했다.
그러나 검찰은 남 전 사장에 대한 소환조사 없이 사건을 내사종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보다 앞선 2009년 7월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는 대우조선 납품비리 의혹 수사 당시 이씨를 남 전 사장의 비자금 조성책으로 의심해놓고도 남 전 사장에게까지 수사를 뻗지 못했다.
당시 부장검사가 현 특수단장 김기동 검사장이다.
최근 대우조선의 대규모 부실 사태는 과거 검찰 수사가 미흡하지 않았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어 최정예 수사진을 꾸린 검찰이 다시 검증대에 세운 대우조선에서 묻혀있던 의혹을 들춰낼지 주목되는 것이다.
'MB정권 실세' 이재오 전 의원도 남 전 사장 연임 로비 의혹과 관련해 과거에 등장한 적이 있다.
이 전 의원은 2010년 8월 MB정부의 특임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당시 자신의 측근 3명이 대우조선 고문이 된 사실로 도마 위에 올랐다.
신대식 전 대우조선 감사실장은 청문회 증인으로 나와 이 전 의원 측근 3인방이 오기 한 달 전쯤 자신을 내보내라는 청와대 측 외압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청와대 이모 행정관이 산업은행 쪽과 남 전 사장에게 자신을 쫓아내면 아는 사람들을 보내겠다고 말했다는 걸 산업은행 임원에게서 들었다는 주장이었다.
산업은행 출신인 신 전 실장은 그동안 대우조선의 경영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를 해왔는데, 그가 해임되면서 감사실은 감사팀이 됐다고 했다.
대우조선의 부실을 키운 배경에는 이 전 의원의 미국 체류 시절 보좌관, 이명박 대선캠프 특보이자 대통령직인수위 실무위원 등을 지낸 MB정권 낙하산도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대우조선 고문은 모두 6명으로, 이 전 의원 측근으로 분류된 3명을 포함해 영포회 사무총장, 국정원, 해군 출신이었다.
이 전 의원은 청문회 당시 "제가 미국에 있을 때 저하고 오래 일을 같이 했던 제 보과관 중 한 사람이 대우조선 고문으로 들어갔다는 이야기는 전해들었다"고 했을 뿐 "남 사장은 전혀 모른다"고 답했다.
신 전 실장은 "남 사장 연임 로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 부당해고를 당했냐"는 질문을 받고선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는 없지만 최고경영자 입장에서는 청와대 지시를 충실하게 이행할 필요가 있었다"고 답했다.
옛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의 후신으로 불리는 특수단은 대우조선 수사가 일단 분식회계와 경영진의 비리 의혹에 대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검찰총장의 사실상 ‘직할부대’가 나선 만큼 연임 로비 의혹 등 정권에 대한 사정으로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것이 검찰 안팎의 예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