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기문의 선택 새누리당 아닐 수도
- 정치권 연대 명분 ‘개헌’이 될것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원희룡(제주지사)
◆ 원희룡>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차세대 정치지도자라는 소개는 어떻게 마음에 드십니까?
◆ 원희룡> 영광이죠.
◇ 김현정> 그런 시선을 요즘 유독 많이 받으시죠?
◆ 원희룡> 그만큼 이제 우리 정치가 많이 변화의 와중에 있고 좀 유동적이라는 느낌이 드네요.
◆ 원희룡> 총선 참패 이후에 충격에서 아직도 사실은 충격의 여진이 많이 남아 있는 것 같습니다. 이제 시작이고요.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앞으로 아주 길이 달라질 수도 있을 겁니다.
◇ 김현정> 새누리당 이대로 안 되는 건 분명한 거잖아요.
◆ 원희룡> 그럼요.
◇ 김현정> 이대로라면 대선도 총선과 같은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적지 않는 것도 사실이죠?
◆ 원희룡> 경우에 수로의 가능성이야 최악부터 최상까지 있을 수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만약에 제대로 시대의 흐름과 국민의 마음을 담아내지 못한다면 더 큰 심판을 받을 수도 있겠죠.
◇ 김현정> 그래서 이제 혁신적인 뭔가를 해 보자 해서 비대위가 출범을 하는 것인데. 그런데 김희옥 비대위가 추진력으로 보나 혁신적으로 뭔가를 해내기엔 어렵지 않겠나 이런 관측이 많습니다. 어떻게 보세요?
◆ 원희룡> 아마 기간이 몇 달 되지 않죠.
◇ 김현정> 한 두 달 됩니다.
◆ 원희룡> 그래서 모든 걸 다하겠다는 것보다는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물꼬를 제대로 트는 것. 그러니까 당 내의 분위기상 그동안 쉬쉬하고 감히 건드리지 못했던 부분들의 어떤 금기를 깨고 진정한 변화를 출발한다는 진정성과 계기를 어떻게 만들 거냐 그것만 해내도 다 한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모든 걸 다 해내는 건 어차피 물리적으로 불가능 하고.
◆ 원희룡> 그렇습니다.
◇ 김현정> 금기시 되는 거 하나라도 건드려서 물꼬를 텄다라는 이런 느낌을 국민들께 주는 게 중요하다?
◆ 원희룡> 진정성을 국민들이 느끼게 하는 게 가장 중요하겠죠.
◇ 김현정> 어떤 게 상징적인 그런 액션이 될까요?
◆ 원희룡> 새누리당이 가야 될 방향은요, 첫 번째는 모든 걸 내려놓고 민심으로 다시 꽉 채워야 하고요. 자기들 끼리끼리의 욕심으로 채우면 안 됩니다.
◇ 김현정> 계파의 욕심.
◆ 원희룡> 권력에 대한 어떤 유지, 욕구로 채우면 안 되고요. 민심이 다시 권력을 맡겨줄 그 내용을 채워야 되는 거고요. 두 번 째로는 그러니까 민심을 꽉 채운 이후에 포용적인 당으로 가야 됩니다. 지금 스스로 쳐내고 스스로 배제하다 보니까 이렇게 오그라든 거 아니겠습니까? 어떻게 다시 확장력과 포용력을 가질 것인가. 그런데 그것은 진정한 민심이 담겨 있어야 그것을 중심으로 확장하고 포용할 수 있는 것이죠. 그게 없이 나 중심으로 확장하자, 이렇게 또 싸움밖에 안 되는 거 아니겠습니까?
◇ 김현정> 그래서 계파 해체 선언 이런 것도 하기는 했거든요.
◆ 원희룡> 말로 선언하는 건 매 국회 때마다, 매 전당대회 때마다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거든요.
◇ 김현정> 총선에서 차기 주력후보들이 내상을 입으면서 결국은 반기문이라는 대안이 최근에 강력하게 떠올랐습니다. 반기문 추대론 어떻게 보십니까?
◆ 원희룡> 좋은 지도자 후보 그리고 강력한 대선 후보가 나온다는 것은 국민들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많아지는 거고요. 또 주자들이나 정당 입장에서는 뭐라 할까요? 현재의 세력 구도를 가지고 그대로 가면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시대의 과제들에 대한 진단과 해법을 담고 국민들의 민심을 담아서 민심의 어떤 그 절망을 희망으로 바꿔낼 수 있는 능력에 대해서 진정한 경쟁이 벌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저는 국민적인 입장에서는 행복한 고민이 시작되는 거라고 봅니다.
◇ 김현정> 아니, 그런데 반기문 총장은 평생 외교관으로 사신 분이거든요. 그래서 정치인으로서 혹독한 검증의 도마에 한 번도 오른 적이 없어서 정치인으로서 검증을 받기 시작하면 과연 레이스를 끝까지 갈 수 있느냐, 이런 얘기부터 나옵니다.
◆ 원희룡> 아무래도 이제 외교관의 삶이라는 게 일반 민초들의 애환이 담긴 그 삶과는 우선은 거리가 있었던 것 아닙니까? 그 일체감이 어떻게 서로 간에 확보될 것이냐 것하고, 또 하나는 잠깐 국내 와서는 국내 정치에 대한 질문만 받으셨습니다만 지금 뉴욕으로 돌아가셔서는 연말까지 또 세계의 분쟁 해결에 대해서 몰두를 해도 지금 버거운 그런 입장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국제적인 문제만 다루다가 국내의 이 얽히고 섥힌 문제들에 대해서 만약에 1월달에 바로 맞닥뜨렸을 때 과연 어떨까, 이런 점에서 녹록지 않을 것이다는 애정 어린 걱정을 하는 것이지 뭐 자격도 없다느니 차원에서 하는 얘기에 대해서는 저는 동의하기는 어렵습니다.
◇ 김현정> 그 녹록치 않은 것을 반기문 총장, 정치 경험 하나도 없는 분이 과연 뚫고 끝까지 가실 수 있을까요?
◆ 원희룡> 그런데 이번에 와서 메시지를, 물론 본인께서는 확대해석하지 말아달라고 하지만 일정 잡고 메시지 던지고 하는 거 보니까 이거는 뭐 국내 그냥 정치인들 뺨치는 그런 생각도 들더라고요.
◇ 김현정> 과잉해석하지 말라고 한 발 빼면서도 사실은 보여줄 건 다 보여주고.
◆ 원희룡> 해석하기 나름이지만. 그래서 외교관으로서 국내 정치에 문외한 것이라는 것이 어쩌면 전혀 근거 없는 선입견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김현정> 아하.
◆ 원희룡> 물론 어느 당으로 가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 김현정> 새누리당으로 가시는 것 아니에요? 야당으로 갈 것이다, 이런 차원은 아니고요. 한국 정치란 게 어떻게 보면 사람들의 상상력 이상으로, 상상 이상이 현실이 될 수도 있는 거고요.
◇ 김현정> 그렇죠.
◆ 원희룡> 또 뻔히 가야 되는 길은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못갈 수도 있는 것이고요. 그렇기 때문에 매우 새누리당의 진로 자체가 유동적인 것처럼, 대선주자들의 특히 반기문 총장 같은 경우는 현재 경쟁력은 매우 현재 출발점에서 매우 강하고 그동안 묶여 있는 것은 별로 없지 않습니까?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어떻게 선택할지에 대해서도 굉장히 넓을 수 있다.
◇ 김현정> 넓을 수 있다.... 유권자들도 새로운 비전을 보여줄 인물을 찾고 있습니다. 50대 원희룡 지사도 그 임무를 감당할 후보군 중에 들어가 있는 거 아시죠?
◆ 원희룡> 이제는 젊은 지도자들이 나오고 뭔가 좀 참신하고 이런 시대적인 갈등이 크다는 건 알겠고요. 저는 현실적인 책임과 현실적인 제약이 제주도지사에 충실해야죠.
◇ 김현정> 물론이죠. 지금이야 당연히 도정에 전념을 하기는 거고요. 때가 되면 감당할 각오는 되어 있으세요?
◆ 원희룡> 아직 그 부분에 대해서는 본격적으로 생각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지금 제주도를 통해서 그리고 제주도가 대한민국의 미래의 창입니다. 이게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라든지 미래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 제주도에서 하고 있는 일들이 대한민국의 미래와도 직결되기 때문에 저는 제주도 도정을 통해서 대한민국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데 동참하겠다.
◇ 김현정> 아니, 국가 경영의 꿈이 있다 이런 이야기를 최근에 강연회에서 하셨더라고요.
◆ 원희룡> 그럼요. 그건 중장기적으로. 그리고 현재의 일을 통해서 늘 국가 경영을 고민하고 있다는 그런 일반론입니다.
◇ 김현정> 꿈이야 어느 정치인에게나 다 있는 거죠, 국가 경영의 꿈이야. 그런데 어떤 국가를 꿈꾸느냐 이 모양이 더 중요할텐데 어떤 국가를 꿈꾸세요?
◆ 원희룡> 크게 두 가지라고 봐요. 그러니까 하나는 현재의 일자리나 경제의 어려움을 미래의 먹거리까지 연결시키는 이런 면에서는 크게 봐서는 인공지능 시대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스마트 국가 이게 필요하고요. 또 하나는 현재 나라가 서로의 차이들을 포용하지 못하고 조금만 차이가 있으면 자기를 앞세워서 사분오열하고 있는 거거든요. 무한 대립으로 가고 있는데 포용 국가라는 방향으로 포용적인 리더십, 정치력 이 부분이 국가의 중심 역량이 되는 그런 나라가 되어야 된다고 봅니다. 포용국가로 가야 된다는 얘기죠.
◇ 김현정> 포용국가. 그런 꿈 국가 경영의 꿈은 분명히 있다, 이런 말씀. 하지만 그게 언제될지는 모르겠다 이렇게 정리를 하면 되겠네요.
◆ 원희룡> 현재 제주 도정을 통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 김현정> 제가 차세대 지도자들이 나오면 꼭 좀 묻고 싶었던 질문인데요. 시간이 없지만 이거 하나는 질문 드리고 싶어요. 개헌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원희룡> 개헌은 저는 필요하다고 보지만 현대의 정치상황에서 불가능 할 것이라고 보고요. 대신 정치 이슈의 단골, 단골 주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제가 이 질문을 왜 드리냐 하면 지금은 불가능합니다. 정권 말기에 완전히 불가능하죠. 개헌을 하려면 반드시 정권 초기에 해야 하고.
◆ 원희룡>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래서 공약에 이걸 넣을 정도, 넣을 생각까지 하는 그런 정도 강력함이 있는 사람이 나타나서 이제 공약의 깃발을 들 것인가 하는 문제인데.
◆ 원희룡> 저는 공약 내지는 정치권끼리의 서로 연대하는데 아마 명분은 개헌이 될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이번 대선에서.
◆ 원희룡> 그런데 그런 부분에서 아마 필수 주제가 될 겁니다. 공약으로 채택될 가능성도 매우 높다고 보고요.
◇ 김현정> 그런 후보가 나서서 추진을 해야 된다고도 보십니까? 다음 정권에서.
◆ 원희룡> 네, 저는 개헌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 김현정> 제왕적 대통령제를 반드시 탈피해야 한다.
◆ 원희룡> 현재 승자독식 때문에 대통령이 되는 순간은 영웅이지만 계속 무한 대치로 가야 하는 현재의 정치는 포용국가로 가기에는 틀이 안 맞다고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그렇게 보시는군요. 다음 대선 주자는 개헌에 대한 공약을 내걸어라. 그리고 반드시 정권 초기에 추진해라, 이런 요구. 이거 뭐 한 번에 차세대 지도자한테 드릴 질문을 다 드릴 수는 없을 것 같고 다음에 한 번 더 모셔야겠습니다. 오늘 고맙습니다.
◆ 원희룡>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원희룡 제주지사였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