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회사에서 이렇게 말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일의 '보람'을 부정하는 행위는 우리 사회에서는 그야말로 '금기'라고 할 수 있다. '보람보다 돈'을 우선시하는 생각이 그렇게 나쁜 것일까. 우리가 회사를 위해 일하는 대가로 약속된 것은 기본적으로 '월급' 뿐이다. 일을 일답게 해주는 것은 결국 '회사에 제공하는 노동'과 그 대가로 받는 '월급'이라는 두 가지 요소다. 보람은 어디까지나 이 두 요소를 충족한 후 사람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덤'일 뿐이다.
현대에는 '노동', '일'과 관련한 비참한 이야기가 차고 넘친다. 수많은 회사에서 돈도 받지 못하고 일하는 ‘서비스 야근’이 당연하게 이뤄지고 있다. 또한 너무나 불명예스럽게도 과로사(Karoshi)라는 단어가 영어사전에까지 등재되었다.
그런데 고작 일의 보람을 위해 사생활까지 희생하면서 열악한 근무 환경에 이리저리 휘둘리다 몸과 마음을 축내다니, 너무 바보 같지 않나.
이 책을 통해 한 명이라도 더 많은 사람이 일의 보람이라는 저주에서 빠져나오기를 간절히 바란다. - 프롤로그에서
일본인 31살 히노 에이타로가 펴낸 책 '아, 보람 따위 됐으니 야근 수당이나 주세요'는 우리가 매일 노동현장에서 맞닥뜨리는 '비참함'에 관한 이야기다. 이 책은 일의 보람을 추종하는 광신도들 사이에서 나를 지켜내고 '사축(社畜, 회사에 매인 가축)'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과연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통렬한 문제 제기이기도 하다.
과로사로 누군가가 죽어나가도,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유족들에게 위자료를 지급하고 적절한 수위의 추모를 하기만 하면 공식적으로는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는다. 개인이 사람을 죽이면 수년간 교도소에 복역하거나 사형까지 언도되는 수도 있는데, 기업의 살인은 철저히 개별적인 차원으로 묵인된다.
전국에 '야그너'를 자청하는 사람들은 넘쳐나는데 야근수당을 따박따박 청구해 받는다는 사람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은 것도 이상한 일이다. 이에 대해 노동자들은 만약 ‘야근수당’을 다 챙겨 받는다면 본봉보다 야근수당이 더 많을지도 모른다는 농담을 해가며, 노상 이어지는 야근을 견디지만, 저자는 직장인들 스스로가 이를 결코 당연시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지급해야 마땅할 수당을 지급하지 않고 떼어먹는 것은 타인의 노동력을 훔치는 행위다. 서비스 야근을 강요하는 것은 회사가 사원을 상대로 저지르는 절도나 다름없다.
절도는 심각한 범죄다. 남의 소유물을 훔치면 당연히 경찰에 붙잡히지 않는가. 그런데 사람의 노동력을 훔치는 서비스 야근은 일반적인 절도와 달리 심각한 범죄로 여겨지지 않는다.
"야근수당을 다 줬다가는 회사가 망한다"라며 대놓고 얼굴에 철판을 까는 경영자도 있다.
법을 지킨다고 회사가 망한다면 그런 회사는 그냥 망하면 된다. 법을 어기면서까지 회사를 연명시킨다고 해서 이 사회에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본문 31쪽)
우리는 왜 이렇게 기업의 노동범죄에 관대해지고 법적으로 보장된 노동자의 권리보다 '회사'와 '기업'의 사정에 눈치를 보게 된 것일까? 저자는 최근 일본 조직사회에 대두되고 있는 관념인 '사축'에서 그 실마리를 찾는다.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사축으로 길러지기 위한 세뇌교육을 받는다. 장래의 희망과 꿈을 말하라는 어른들의 질문에는 반드시 '돈과 명예가 뒤따르는 번듯한 직업'으로 답변할 것을 강요받고, 학창시절에는 일을 통해 자아실현을 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삶을 살아가라고 교육받는다. '회사원'이라 불러도 무방할 '직장인'을 한국과 일본에서는 '사회인'이라는 거창한 이름을 갖다붙이고선 '사회인의 상식'이라는 미명하에 불합리를 강요한다. 그런 불합리의 연장선상에 '착취'와 '과잉 충성' 그리고 '보람 만능'의 직업관이 존재한다.
이런 과정 속에서 개인이 노동력을 제공하고 '돈'을 받는다는 일의 제1원칙은 어느덧 뒤로 밀려나고, '일님'의 신성함에 몸과 마음을 열정적으로 바치는 '사축적 사고'가 바람직하고 모범적인 직장인의 필수조건으로 대두된 것이다.
"개인 사정에 맞춰 유급휴가를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서비스 야근이나 의리 야근을 하지 않고 매일 정시에 퇴근하려는 사람에게 '사회인으로서의 상식이 없어'라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사회인으로서의 상식'이란 대체 무엇일까? 나는 이 질문에 대해 납득할 수 있는 대답을 아직껏 들어보지 못했다. 결국 '사회인으로서의 상식’이라는 말은 특정 회사나 업계 내에서 암묵적으로 정한 규칙을 지칭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런 것을 ‘상식이라고 주장하다니, 좀 이상하지 않은가. '사회인으로서의 상식'이라는 단어를 들었다는 이유로 생각하기를 포기하지 말자. '사회인으로서의 상식'이 어떤 내용인지 진지하게 따져보지 않고 듣자마자 사고를 정지한 채 순순히 받아들인다면, 자기 권리를 지키면서 제대로 일하는 날이 오기는 아직 멀었다." (본문 39~40쪽)
자발적으로 사축이 되지 않으면 이 생존의 정글에서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라 위협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직장인들에게 '경영자 마인드로 일하라'고 강요하는 오지랖 섞인 꼰대질과 자기계발서들이 넘쳐나는 이 세계에서, 이 책은 약간 다른 노선을 걷는다.
"그럼 경영자 마인드로 일할 테니 경영자의 월급을 주세요"라고 답변하며 찡긋, 윙크를 건네는 이 책은, 노동자가 자기 자신의 몸과 마음과 감정을 지키며 일하는 법을 결코 알려주지 않는 조직사회에서는 오히려 철저하게 '종업원의 마인드'로 일할 것을 권유한다.
일은 돈을 벌기 위한 것임을 잊지 말라고, 돈 받는 만큼 일하겠다는 것이 결코 이기적인 생각은 아니라고, 우리의 인생은 각자의 삶의 궤적만큼이나 다양하고, 가족, 취미, 여행, 연애 등 일보다 중요한 무언가가 있을 수 있음을 부디 잊지 말라고 말한다.
이 책은 신랄한 어투와 유머러스한 일러스트를 통해 우리의 노동현실을 유쾌하게 비틀어 풍자하지만, 결론에 이르면 ‘일의 보람’을 존중하는 사람도, 또 굳이 일에서 보람을 찾고 싶지 않은 사람도, 결코 서로의 적이 아니며 동등한 노동자로서 존중받아야 함을 말해준다. 일이 재미있는 사람도 있고, 눈곱만큼도 재미없지만 그저 살아가는 데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어진 근무시간을 묵묵히 견뎌내는 사람도 있다. 야근을 밥먹듯이 하면서도 강철체력을 유지하고 일이 재밌어 죽겠다는 '워커홀릭형' 사람이 있는가 하면, 주어진 근무시간에만 최대한 성실하게 일하고 적어도 저녁에는 마음 편히 좀 쉬고 싶은 사람도 있다.
혹시 당신은 매일 이어지는 줄야근에 한숨 쉬면서, '우리 팀의 저 인간은 맨날 칼퇴하면서도 어쩜 저렇게 뻔뻔하게 회사를 잘 다니나?' 억울한 마음으로 옆자리의 동료에게 눈을 흘긴 적은 없는가. 혹은 매일 이어지는 야근을 운명처럼 받아들이며, 나는 남들보다 '일을 더 열심히 하는 성실한 직원'이라고 내심 자부해본 적은 없는가.
일에서 보람을 느끼든 보람은 느끼지 않든, 인생의 우선순위를 어떤 것으로 내세울지는 철저하게 당신의 자유다. 그러나 당신이 어떤 선택을 하든 결코 회사에 부당하게 착취당하지는 말라. 회사는 나의 인생 전체를 책임져줄 수 없으며, 지금 이 순간의 내가 잠시 거래를 트고 있는 거래처라는 사실을 잊지 말라. 더불어 직장 내에서 다 같은 ‘종업원들’끼리 ‘좀비형 사축’이 되어 내 옆의 쟤는 왜 야근 안 하고 칼퇴하느냐고 닦달하고 감시하고 물어뜯으며, 가뜩이나 힘든 일터를 우리 스스로 지옥으로 만들진 말라.
"언젠가는 직장에서 금기와도 같은 이 책의 제목을 아무렇지 않게 말할 수 있는 날이 올까? 비단 지금은 이 책이 직장인들이 몰래 표지를 숨기고 봐야 하는 은밀한 금서(禁書)로 읽힐지라도, 언젠가는 '아, 보람 따위 됐으니 야근수당이나 주세요!'라는 이 책의 제목이 마땅한 상식이 되고 회사에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노동조건이 되는 날이 오길 바란다.
본래 사람은 저마다 다르다. '모두와 똑같이'란 불가능하다. 일이 좋아서 매일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있다면, 일이 싫어서 최대한 편한 직장을 구해 매일 일찍 퇴근하고 싶은 사람도 있다. 둘 중 어느 쪽이 옳다고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세상에는 저마다 다양한 생각이 존재한다’는 지극히 당연한 사실을 말하고 싶을 뿐이다.
내 인생은 나 이외에 그 누구도 살아줄 수 없다. 내 행복은 나의 주관으로 판단하면 된다. 블랙 기업이나 좀비형 사축은 우리에게 '가치관'을 억지로 강요하려 할 것이다. 그런 타인의 가치관 따위는 무시하고 나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내가 '괴롭다'고 생각하면 그건 괴로운 것이다.
내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면 그건 무의미한 것이다.
내가 '재미없다'고 생각하면 그건 재미없는 것이다.
내게 가치관을 강요하는 회사도 상사도 동료도 어차피 타인이다.
타인의 삶을 사는 행위는 인생의 최대 낭비다.
자신의 가치관에 솔직해지자. 좀더 나 자신을 위해 살자." (본문 165~167쪽)
히노 에이타로 지음/이소담 옮김/오우아/176쪽/13,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