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빅3 구조조정 포인트는 '각자도생'…정부 "빅딜 불가"

(사진=자료사진)
우리나라 경제의 한축을 담당해 온 조선업이 극심한 불황의 늪에 빠지면서 전 세계 시장을 독식해 온 한국 조선업계 선두주자 '빅3'가 고강도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해운에 이어 조선업계가 고강도 구조조정의 핵심 대상으로 지목되면서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3사를 어떻게 처리할지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빅3 체제' 유지하기로 가닥?

정부는 대형 조선3사에 대한 ‘빅딜(Big Deal)’은 불가하다고 못 박았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6일 “소유주가 있는 대형사를 상대로 기업간 자율이 아닌 정부 주도로 합병을 강제하거나 사업부문간 통폐합 등 빅딜을 추진하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한 방법도 아니다”고 말했다.

조선업계가 이미 인력감축, 원가절감 등 자율적으로 구조조정에 돌입했고, 그 어느 때보다 경영정상화 의지가 강하다는 점도 ‘빅딜’불가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빅딜’을 하려면 막대한 적자를 낸 대우조선이 피합병 대상이 되어야하는데 구조조정 중이어서 살림이 어려운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에는 대우를 합병을 여력이 없다는 것이 업계의 일반적 시각이다.

합병이 이뤄진다 해도 신규 수주가 안되는 상황이라 인수 업체의 부담이 커져 부실만 더욱 키우는 악수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뼈 깎는 '다운사이징' 추진 요구

기업을 합치거나 버리는 ‘빅딜’카드가 제외되면서 현재 업계에서 거론되는 유력한 구조 조정 시나리오 중 하나는 빅3 체제를 유지하면서 이들 업체의 불필요한 자산과 계열사 매각, 인력 감축 등을 통한 고강도 ‘다운사이징’을 추진하는 것이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조선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금융사부터 시작해 호텔에 이르기까지 계열사만 20여개가 넘는다.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도 별반 다르지 않다.

업계 전문가들은 “조선 빅3가 살아남으려면 정부가 수긍할 정도의 추가적인 조직 개편과 인원 감축, 자산 매각 등으로 군살을 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대형조선사 중에서 적자 규모가 가장 큰 대우조선해양에 대해서는 추가 자구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현대·삼성중공업은 주채권은행이 중심이 돼 회사 측에 최대한의 자구계획을 제출하도록 하는 등 고삐를 죄고 있다.

◇ '조선 3사發' 대규모 실직 사태 우려

정부는 산업은행의 자회사로 사실상 국영기업인 대우조선에 추가 인력 감축, 급여 체계 개편, 비용 절감 등의 추가 자구 계획을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대우조선은 이미 서울 본사 조직과 임원을 30% 가량 줄이고, 골프장 등 비핵심 자산과 실적이 악화된 해외 자회사의 매각 등을 진행중이지만 너무 미흡하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이미 감축한 709명을 포함해 2019년까지 단계적으로 정규직 3,000명을 줄여 직원수를 1만명으로 맞추려던 대우조선은 감원 폭을 더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현대중공업은 27일 전체 임직원의 10% 가량인 3000여명의 희망퇴직을 발표하는 등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휴일근무와 연장근로 등을 폐지하고 안식월 휴가 및 연월차를 모두 사용해 경비를 줄이기로 했다.

삼성중공업도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사외기숙사와 수원사업장, 당진 공장을 1,008억원에 팔았고, 호텔 등 부동산과 주식 등의 매각을 통해 2,200억원을 추가로 마련할 계획이다.

최근 2년간 1,500여명의 인원을 감축한 데 이어 올해도 상시 희망퇴직을 실시해 조직을 슬림화할 계획이다.

이처럼 조선업종 구조조정이 2라운드로 접어들면서 빅3와 협력업체까지 포함해 최대 2만명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