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개월이라는 세월이 흘렀지만 세월호는 여전히 멈춰있다. 실종자 9명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유가족과 피해자들이 납득할 만한 진상규명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세월호 인양작업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배상과 보상 문제 또한 해결이 요원하기는 마찬가지다.
2주기를 앞두고 시민단체와 교육계, 대학가 등을 중심으로 추모 분위기가 일고 있지만 4.13 총선에 가려 국민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정부와 일부 지자체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추모 모임을 선거를 이유로 불허했다.
세월호 사고 이후 정부는 안전한 국가를 만든다며 해양경찰청을 해체하고 행자부의 국민안전기능에다 소방방재청과 해경을 합쳐 '국민안전처'를 신설했다. 또 공직자 부정부패 척결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들끓자 그동안 방치해 두었던 '김영란법'을 국회에서 통과시켰다.
이렇게 새로운 부처가 신설되고 법이 만들어 졌지만 현실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신설된 부처가 있다고는 하지만 안전사고가 줄기는커녕 더욱 늘어가고 있다. 오랫동안 쌓여온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만든 '김영란법'도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기가 막힌 것은 침몰 후 2년이 다된 지금까지도 국민들이 납득할만한 정확한 침몰 원인이 밝혀진 것이 없다는 점이다. 승객 구조에 실패한 해경과 부실한 관리감독과 엉성한 사고 대응으로 피해를 키운 정부는 책임회피에만 급급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오는 6월에는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이 종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세월호 인양이 7월로 예정된 가운데 특별조사위원회가 서둘러 활동을 끝내는 것도 석연찮다.
세월호 참사 이후 2년 동안 진행돼 온 개선과 보완대책이 이처럼 미흡하고 허술하다는 것이 믿겨지지 않는다. 이런 식의 대응이라면 죄 없이 죽어간 수많은 학생의 희생조차 헛되게 할 수 있다. 안전하고 부강한 나라는 비정상의 사회가 정상의 사회로 돌아갈 때 가능해 진다. 집권층의 과감한 개혁과 해결의지 그리고 솔선수범 없이는 세월호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정부는 2년 전 사고 당시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아직 풀지 못한 의문점과 문제점을 풀어야 한다. 원인규명을 철저하게 밝혀야하고 안전시스템을 완벽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 같은 노력의 결과가 희생자들에 대한 진정한 추모이자 국민들의 상처를 달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