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공자의 열두 제자들의 관점에서 보다

신간 <논어, 학자들의 수다 :사람을 말하다>

<논어, 학자들의 수다 :사람을 말하다>의 저자 김시천은 《논어》를 공자의 '제자들' 관점에서 바라본다. 그 옛날 논어가 처음 편집되던 시기의 관점을 복구해 보고, 나아가 '사람'이라는 존재를 읽는 텍스트로서 재조명한다.

이 책은 공자의 대표적인 제자 열두 명의 삶을 재구성한다. 그러면 바로 그 한 사람 한 사람의 삶 속에서 우리가 찾던 개념들이 다시 보일 뿐만 아니라, 제자가 공자에게 일방적으로 가르침을 받기만 하지 않고 제자와 선생이 서로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만들어나가고 성장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논어에서 '선생님/공 선생님이 말했다'로 시작하는 문장은 전체의 약 45퍼센트로, 나머지 55퍼센트는 공자의 제자들 또는 다른 역사적 인물들이 하는 말이다. ('논어'에는 제자만 해도 29명, 공자나 그 제자가 아닌 사람들이 125명 등장한다.)

책 속에서

재아가 물었다. “3년상은 1년으로도 충분합니다. [만약 공직을 맡고 있는] 군자가 3년 동안 예禮를 행하지 않으면 예는 분명히 망가질 것입니다. [또 군자가] 3년 동안 음악樂을 하지 않으면 음악은 분명히 사라질 것입니다. 옛 곡식이 없어지고 햇곡식이 올라오는 것과 [계절마다 바꾸어 사용하는] 불씨 얻을 나무를 바꾸는 데도 1년으로 충분합니다.”
[가만히 듣고 있던] 선생님이 [불쾌한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이렇게 말했다. “[부모가 돌아가신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쌀밥을 먹고 비단옷을 입어도 너는 편안하냐?”
[선생님의 반응이 예상외로 공격적인 말로 돌아오자 재아는 결심한 듯이 이렇게 말했다.] “편안합니다.”
[물러설 줄 알았던 재아가 다시 도발적으로 대답하자 선생님도 계속 강경한 어조로 말했다.] “네가 편하다면 그렇게 해라. 군자는 [부모의] 거상 중에는 맛있는 음식을 먹어도 맛을 모르고, 음악을 들어도 즐거운 줄 모르고, 집에 있어도 편안하지 않다. 그래서 그렇게 하지 않는다. [그런데] 지금 너는 편하다고 하니 그렇게 하도록 해라.”
재아가 나가자 선생님이 [주위의 제자들을 둘러보면서 혀를 끌끌 차며 이렇게] 말했다. “재여는 어질지 못하구나不仁. 자식이 태어나 3년이 지나야 부모의 품을 떠난다. 3년상은 천하에 통용되는 상례다. 재여는 자기 부모에게 3년 동안 사랑을 받기는 했을까?”

여기서 재아는 “생명은 1년을 주기로 순환합니다. 그렇다면 인간이 지켜야 할 ‘상’이라는 예의 기간도 자연법칙에 따라 1년으로 하는 것이 순리 아니겠습니까?”라고 공자에게 물은 겁니다. 그런데 공자는 “너는 부모가 돌아갔는데도 맛있는 게 입에 들어가느냐?”며 쏘아붙입니다. 한마디로 공자가 반칙을 한 겁니다. 거기다 재아의 뒷담화까지 합니다. 만약 공자가 재아의 질문에 바로 “사람이 태어나고 부모 품을 벗어나는 데 3년이 걸린다면, 부모와 헤어지는 것도 3년이 걸리는 것이 합당하다”고 대답했다면, 둘 사이의 이야기는 합리적인 토론이 됐을 겁니다.
_ 9장 재아 | 길이 갈라지는 징후, 도의 탄생

《논어》는 공자가 어떤 완벽한 가르침을 남겼는데, 그보다 떨어지는 인간들이 덜 완벽하게 이해하고 행동했다는 내용을 담은 책이 아닙니다. 제자들 각각이 공자에게 가르침을 받았지만, 그 가르침을 각자의 삶 속에 적용하거나 때때로 거부하면서 자기 나름대로의 색깔을 만들어나갔죠. 이런 다양성을 어떻게 공유하고 만들어나가는지가 새로운《논어》 읽기의 출발이자 완성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나는 《논어》에서 찾아야 하는 진면목은 공자라는 한 사람의 얼굴이 아니라, 네가 되고 내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우리의 얼굴’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은 혼자 살 수 없기에 우리는 수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으며 살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을 읽는다는 것은 그래서 그 사람의 삶의 이야기를 읽는 것이고, 삶의 이야기는 늘 다른 사람과 포개어지는 법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논어》는 나의 삶, 우리의 삶을 비춰볼 수 있는 하나의 거울이 아닐까요. _ 에필로그: 십인십색 《논어》 이야기

김시천 지음/더 퀘스트/368쪽/16,000원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