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는 현역과 정치신인의 '1대 1' 구도의 결선투표를 관철해 신인의 '불공정 경선' 가능성을 줄였다는 점에서 자신들이 바라는 '물갈이'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여성·청년 등을 포함해 정치신인에 대한 가산점 부가도 친박계의 공로다.
비박계 입장에서도 결선투표 실시를 '오차범위 내 접전'으로 최소화했다는 점에서 부분적인 성과를 거뒀다. 이들은 청와대 측의 '낙하산 공천'을 염려하는 김무성 대표와 현역의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경선 방식에서 남은 쟁점은 일반 국민의 경선 참여 비율과 안심번호를 활용한 휴대전화 여론조사의 활용 여부 정도다.
하지만 아직 '전략공천' 실시 여부가 계파 간 가장 첨예한 쟁점으로 남아 있다. 새해 벽두부터 불꽃 튀는 전선(戰線)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오는 3일 마지막 회의를 통해 경선 방식을 최종 타결 지을 방침인 당내 공천특위에선 비박계 및 현역의원의 이해관계가 관철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 성향의 한 특위위원은 1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소수(小數) 위원을 제외하곤, 현역의원에 대한 인위적인 물갈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주류"라고 다섯 차례에 걸쳐 진행된 회의 결과를 종합했다.
그간 계파 간 최종 승패를 판가름할 척도로 관측됐던 '현역의원 컷오프(예비심사에 의한 낙천)'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얘기다. 현역의원 평가제를 고집하는 기류는 김재원·강석훈·김태흠 의원 등 친박 강경파로 분류되는 쪽에 국한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는 12명의 특위 위원의 실질적인 계파 구도가 '8(친박) : 4(비박)'로 친박계에 유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외의 결과다.
한 의원은 "같은 친박 성향이라도 '물갈이' 의도를 갖고 접근한 이른바 진박(眞朴·진실한 친박)과 현역의원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에 충실한 쪽으로 기류가 나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위 구도상 친박계가 유리했다고는 해도 이들 역시 현역의원으로서 '팔이 안쪽으로 굽는'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는 설명이다.
또 일부 강경파가 "당 정체성에 어긋나 물의를 일으킨 현역의원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도 역풍을 맞았다고 한다. 유승민 의원이 원내대표 재임 당시 박근혜 대통령과 갈등을 빚은 것 등을 연상시키면서 '공천'을 본질과 무관한 '징계'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의도에 반발 기류가 있었다는 것이다.
친박계가 '대구 물갈이'를 위해 투입한 진박 후보들의 재배치를 꾀하는 등 작전을 다시 짜는 이유도 "결국 경선을 실시할 수밖에 없게 됐다"는 판단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 親朴, 우세한 화력으로 공천관리위 '장악' 나설 듯
하지만 당 안팎에선 비박계가 최종적으로 '공천 학살'을 모면할 수 있을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는 기류가 우세하다.
우선추천·단수추천·적격성 심사 등 당헌·당규에 분명히 명시된 규정들이 전략공천으로 전용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실제 친박계는 경선에서 유리한 '정치신인 가산점'을 관철하긴 했지만, 이는 '보험' 삼아 확보한 것일 뿐 속내는 여전히 전략공천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공천관리위)를 조기에 띄우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공천관리위의 경우 친박계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최고위원들의 추천을 받아 구성해 수적인 우위를 점하는 전략이 논의되고 있다고 한다.
공천특위에서 전략공천을 관철하지 못할 경우 불출마 선언을 한 현역의원과 외부인사 등으로 꾸려지는 공천관리위에서 이를 뒤집는다는 복안이다.
현재 최고위는 김무성 대표와 원 원내대표, 서청원·김태호·이인제·김을동·이정현 최고위원, 김정훈 정책위의장과 황진하 사무총장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김무성 대표와 김을동 최고위원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범(凡) 친박계로 분류되는 상황이라 공천관리위 역시 친박계 주도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