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원 금통위원 "미국 금리 올린다고 따라 올리지 않는다"

"美 금리인상 속도 매우 완만할 것"

정순원 금융통화위원은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우리나라의 경기회복세가 견고해지지 않는한 금리인상을 고민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곧바로 따라 올리게 될 것이란 일각의 전망을 경계하는 시그널로 해석된다.

정 위원은 26일 서울 소공동 한은 본관에서 출입기자들과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금통위가 금리 결정을 하는 데 있어 주요국 통화정책이 참고 사항인 것은 사실이나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역시 국내 경제상황이라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위원은 미국의 연내 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면서 인상의 속도와 폭은 완만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 위원은 “최근 미국 경기 및 물가동향을 보면 미 연준의 금리인상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높게 봤다.

그러면서 “미국 통화정책의 정상화는 그 시기보다 향후 인상 속도와 그 최종 수준으로 초점이 이동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국제금융 변동성 심화 등 글로벌 금융안정 문제와 세계경기 회복에 주는 부담 등을 우려해 매우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정순원 위원은 일본의 예를 들며 성장잠재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조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 위원은 일본 경제를 보면 지난 3년간 대대적인 금융완화정책에도 불구하고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해 구조조정 없는 장기침체 탈출이 얼마나 어려운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며 ”일본을 반면교사로 삼아 구조조정을 통해 성장잠재력을 높여야 하고 이에 더해 출산율 제고, 첨단기술개발 강화 및 고용 친화적 성장 등을 위해 각계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가운데 단기적으로는 경기회복 모멘텀을 유지하고, 장기적으로는 성장잠재력 회복지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중앙은행의 부담감이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금통위원 7명 가운데 4명이 내년 4월 동시에 퇴임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통화정책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순차적인 교체가 바람직하겠지만 그동안 집행부의 조사기능과 금통위원들의 정책방향 설정 노력들이 한데 어우러져 하나의 잘 작동하는 시스템으로서 자리잡아왔다고 자부한다”며 “새로 오는 금통위원 네분도 잘 갖춰진 시스템 속에서 소임을 잘 해 내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