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12일 국정화 방침 확정 발표 당시, 현재 각각 9종과 8종인 중학교 역사 및 고교 한국사 교과서를 1종으로 줄일 경우 수험생들의 학습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는 점을 한껏 부각시켰다.
교과서 개수가 하나로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부담이 줄어든다는 단순 논리다.
입시지옥에 시달리고 있는 수험생들을 둔 학부모들로서는 귀가 솔깃한 이야기임에 틀림없다. 특히, 국정 한국사 교과서로 첫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는 중학교 2학년을 둔 학부모들의 관심이 높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험생들의 실질적 학습 부담이 현재와 별반 달라질 게 없다고 잘라 말한다.
수험생들은 수능을 치르기 위해 EBS 문제집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기 때문에 단순히 교과서 수가 줄어든다 해서 지금보다 학습부담이 결코 줄어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수능 시험의 EBS 교재 연계 출제율은 70% 정도에 이른다.
종로학원하늘교육 임성호 대표이사는 "한국사가 국정화가 되든 검인정이 되든 그것은 정치적인 문제이지, 수능이라든가 교육적인 문제하고는 전혀 독립적인 것으로 보는 게 맞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일선 역사교사들은 다시 국정체제로 돌아갈 경우, 사실 하나 하나를 외워야 하는 만큼 부담이 늘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지엽적인 문제까지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서울의 모 고교 한국사 교사는 "국정 교과서로 수능을 치른 7차 교육과정 때(2002~2006년)에는 난이도 때문에 중요하지도 않은 교과서의 어느 한 구석에 있는 내용까지 출제가 됐었다. 이후 검인정으로 바뀐 뒤 그런 일이 거의 사라지다 시피하면서 시험이 쉬워졌다"고 밝혔다. 그런데 "앞으로 다시 국정이 되면 그런 것들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1984년부터 교사 생활을 하고 있는 또 다른 한국사 교사는 "과거 국정일 때는 너무 지엽적인 문제가 나와서 학생들이 교과서에 있는 것 한 글자 한 글자를 놓치지 않고 다 외우면서 시험을 봐야 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검정교과서로 수능을 볼 때는 한 교과서에 편중되지 않도록 교과서마다 공통으로 나오는 문제가 출제됐다"며 "다시 국정화로 가면 변별력을 갖추기 위해 통째로 암기하는 식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국정화 방침이 다음달 5일 확정 고시되면 오는 2017년 1학기부터 중·고등학교에서는 국정 역사·한국사 교과서 1종으로 배우게 된다. 현재 초등학교 5학년 및 중학교 2학년생부터 역사와 한국사를 검정이 아닌 국정교과서로 배우게 되는 셈이다.
특히, 2020학년도 수능부터는 검정교과서가 아닌 국정교과서로 수능을 치르게 돼, 현재 중2가 첫 국정 한국사교과서 수능 세대가 된다.
이에 앞서, 현재 고2가 치르게 될 2017학년도 수능부터는 선택과목인 한국사가 필수과목으로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