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전문가들, 靑의 안심번호 5대 불가론 "근거없다"

동시실시하면 역선택도 비용도 줄일 수 있어

청와대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청와대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비판하면서 이른바 5대 불가론을 든데 대해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전혀 다른 평가를 내리고 있다.

청와대가 제시한 5대 불가론이란 역선택 및 민심왜곡, 낮은 응답률, 세금 낭비, 현장투표와의 괴리 등이다.

이에 대해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여야가 동시에 안심번호형 국민공천을 실시하면 역선택도 거의 막을 수 있고 비용 또한 크게 줄어든다고 반박하고 있다.

청와대가 지적한 첫 번째 문제는 역선택이다.

안심번호가 있다고 해도 지지정당을 누르고 조사를 시작하기 때문에 역선택이 발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민심왜곡을 막을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대해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얼미터 이택수 대표는 "역선택 문제는 조사를 동시에 실시하면 큰 문제가 없다"면서 "예를들어 종로지역에 야당후보 A를 지지하는 유권자가 전화를 받았을때 자신이 지지하는 A 후보의 강력한 경쟁자로 예상되는 여당의 C 후보를 떨어 뜨리기 위해 여당의 D 후보를 누를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야당내 경쟁자인 B 후보를 생각할 경우 섯불리 D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대답하기 힘들것"이라고 밝혔다.

여야 모두 경쟁구도인 경우 역선택이 일어나지 않거나 역선택의 비중이 매우 낮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여론조사 전문가인 조원 C&I 김대진 대표는 "당원이 아닌 일반국민이 정당의 경선에 참여할 경우 역선택의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이는 여론조사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선거에도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기 때문에 여론조사 방식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현장투표가 아니라 전화여론조사이기 때문에 역선택이 발생한다는 지적은 타당하지 않다는 뜻이다.

청와대가 두 번째로 제시한 문제점은 낮은 응답률이다. 여론조사 응답률이 2%도 안돼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낮은 응답률이면 조직력이 강한 후보자에게 유리하고 인구수가 적은 선거구의 경우 안심번호도 노출될 수 있어 얼마든지 조직선거가 가능하다고 청와대는 지적했다.

이에 대해 리얼미터 측은 "청와대 관계자가 말하는 응답률 2%는 유선전화 ARS 방식을 말하는 것이고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선관위가 주관해 실시할 경우 공신력 있는 정부기관의 ARS에 대한 응답은 5문장 이내의 짧은 질문과 함께 이뤄질 경우 10-15% 가량으로 높아질 수 있다"고 반박했다.

한국사회여론조사연구소 김갑수 대표는 "선거를 앞둔 시점이라면 당연히 선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 게 분명하니 응답률은 평소보다 훨씬 높아질 개연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조원 C&I는 "당지지자와 무소속 지지층만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응답률이 평균보다 낮아지는것은 맞다"면서도 "하지만 과거의 사례에서 오프라인 선거의 경우 조직동원이 발생하면 영향력이 압도적이지만 여론조사의 경우는 조직동원의 효과가 매우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비용이 많이 들고 당의 경선비용을 세금으로 내는 것이 말이 되느냐는 청와대 지적에 대해서는 "양당이 같은날 함께 안심번호형 국민공천을 시행한다면 비용 이 절반으로 줄어들고 지금까지 총선에서 전화조사 비용은 당이 아니라 후보들이 내 왔기 때문에 세금이 들어간 일은 없다"고 리얼미터 이 대표는 반박했다.

리서치앤 리서치 배종찬 본부장은 "과거 총선에서도 국민연론조사를 활용했고 박근혜 대통령도 후보로 선출되는 과정에서 국민경선을 활용했다"면서 "안심번호 방식이 새로운 방법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배 본부장은 또 "휴대전화 가상번호로 여론조사를 하면 그 이전의 조사방식보다 더 문제가 생기는 것이냐"면서 "(여론조사방식에 대한 청와대 지적에 대해)선무당이 사람잡는 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