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만, IoT·제약 中시장 함께 진출

전경련은 9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최광주 한-대만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두산 부회장), 량궈신 대만-한국 경제협력위 위원장(TAITRA 회장), 강신호 동아쏘시오그룹 회장 등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40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를 개최, 최광주 한-대만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전경련 제공)
한국과 대만이 IoT(사물인터넷)·제약 분야에서 중국 시장에 공동 진출하기로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9일 전경련회관에서 중화민국국제경제합작협회와 함께 개최한 제40차 한-대만 경제협력위원회에서의 주된 화두는 차이나쇼크 등 여파로 양국 경제계가 당면하고 있는 저성장의 문제점 해결 방안이었다.

특히 양국이 공통으로 경쟁력을 가진 IoT 분야 협력 방안에 초점이 맞춰졌다.

SK 주식회사 C&C 임정우 팀장은 '스마트 팩토리' 사업을 통한 양국 제조업의 혁신 및 중국 시장 진출 협력 방안을 설명하면서 이번 협력을 통해 중국 시장에서 스마트 팩토리 성공 모델을 확보하고 중국의 IT 서비스 시장 진출 계획을 밝혔다.


SK 주식회사 C&C는 대만 대기업인 홍하이그룹과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중국 내 홍하이그룹 계열사를 대상으로 공장자동화에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고 있다.

SK C&C는 제약산업에서도 양국 간 협력이 유망한 분야로 꼽았다.

최수영 종근당 상무는 "대만 제약시장의 경우 수입약품의 시장점유율이 80%를 차지하고 있다"며 "자국산에 대한 건강보험이나 보조금 등 우대조치가 없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기가 용이하다"고 말했다.

대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의약품을 개발·생산하면 '녹색통로제도'를 통해 중국 진출의 교두보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양국 기업간 협력 여지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최 상무는 설명했다.

녹색통로제도는 중국이 대만기업의 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에 인허가 우선 심사 등의 혜택을 주는 제도다.

이날 행사에는 최광주 한-대만 경제협력위 위원장(두산 부회장), 강신호 동아쏘시오그룹 회장, 손병두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 이상진 산업통상자원부 국장과 대만의 랑쿠오신 대만-한국 경제협력위 위원장, 스딩 주한대만대표부 대표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