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관련국들의 움직임은 다음 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전후로 우려되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억제하고, 이달 말 미중 정상회담과 다음달 16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핵 관련 의미 있는 성과 도출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중국측 6자회담 차석대표인 샤오첸(肖千) 외교부 한반도사무 부대표가 취임 후 처음으로 7일 방한한다.
북핵 라인 중국측 인사의 한국 방문은 지난해 7월 전임 쉬부(徐步) 한반도사무 부대표의 방한 이후 처음이며, 특히 한중 정상회담 이후 북핵 해법 모색을 위한 방한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샤오첸 부대표는 방한 기간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예방하고, 우리측 차석대표이자 상대역인 김건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과 협의를 한다.
샤오첸 부대표는 권용우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과도 만나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황준국 본부장은 한중간 협의 이후 시점인 이번 주 중반, 9~11일 사이에 워싱턴D.C.를 방문해 미측 수석대표인 성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물론 미국내 한반도 전문가들과 만날 예정이다.
황 본부장은 주말께 뉴욕으로 이동해 15개 유엔 안보리 이사국 대사들과 북한의 핵·미사일, 인권 문제 등에 대한 협의를 한다.
이는 다음달 북한이 전략적 도발을 감행하면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북제재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강력한 경고메시지를 북측에 보내는 '예방 외교'의 일환이자 최악의 경우 북한의 도발 이후 대응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우리 정부는 이와 함께 이달 말 유엔총회 계기에 한미일 외교장관회담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달이나 10월께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도 추진하고 있다.
이달말 미중 정상회담에서도 북핵 및 한반도 문제가 주요 의제로 논의될 전망이며, 미중이 각각 '중국의 역할'과 '미국의 역할'을 서로 주장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들 일정은 대부분 다음달 10일 북한의 노동당 창건일 70주년 이전에 맞춰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일단 10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라는 전략적 도발을 저지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편으로는 관련국간 협의를 바탕으로 다음달 16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라운드업' 성격의 대북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가진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핵 등과 관련해 정상차원의 '새로운 공동인식'이 도출될 수 있도록 논의해 나가기로 한 바 있다.
중국측이 한중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전략적 사고를 바꾸고 대화의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해 어떤 노력을, 어떤 수준에서 할 수 있을지 이른바 '중국 역할론'이 주목된다.
중국의 전승절 기념행사와 군사퍼레이드(열병식)를 계기로 긴밀한 한중관계에 대비돼 '외교적 고립감'을 확인한 북측이 전략적 사고를 바꿀지, 아니면 다음달 장거리 로켓 발사를 통해 중국를 비롯한 국제사회에 도발로 맞서며 '마이 웨이' 행보를 계속할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6일 한미 정상회담 이후 북핵 상황에 대해 "북한에 달려있다"면서 "정부는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대화와 압박을 통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태용 외교부 제1차관은 전날 보도전문채널인 '연합뉴스TV'의 '뉴스 15'에 출연해 "삼각(한중에 이어 미중, 한미) 정상회담과 10월 하순, 11월초가 되면 한일중 정상회의도 열리게 된다"면서 "이런 정상차원에서 비핵화 대화를 다시 한번 살려보고, 북한의 비핵화를 압박하기 위한 고도의 전략적 논의가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