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도는 석박사 90만명…불안한 미래

100명 중 8명 "일 안한다"…"일자리 연쇄 하향지원 불러와"

자료사진
매년 박사학위 취득자가 1만3천여명씩 쏟아져 나오면서 예전처럼 박사학위가 있으면 원하는 일자리를 골라가던 시대는 지나갔다.

박사학위 소지자 배출은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반면 고학력 인력 수요는 그에 따르지 못해 오히려 고급인력의 취업난이 더 심각한 지경이다.

일반적으로 학부를 시작해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기까지 10년 안팎의 시간이 걸리고 이 기간 학비와 생활비 지출 또한 만만치 않다. 하지만 이런 시간과 비용을 보상해줄만한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해 박사 실업자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3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따르면 '2014년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에서 박사과정 중 지출한 학비만 3천만원 이상인 사람이 전체 응답자 7천122명 중 29.8%에 달했다.

이들이 오랜 시간과 큰 비용을 투자해 박사학위를 취득하려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더 나은 대우의 직업을 얻기 위해서다.

미국에서 박사과정을 공부 중인 유학생 H(31) 씨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공부를 계속하는 이유에 대해 "순수학문에 대한 열정으로 공부하는 사람도 분명히 있겠지만, 한국 사회는 기본적으로 교육열이 세고 고학력일수록 좋은 직장을 가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현실은 그리 녹록지 않다.

지난해 박사학위 취득자의 62.8%(총 응답자 3천227명)는 가장 선호하는 직장으로 '대학'을 꼽았지만, 현재 대학에서 일하는 사람은 35.9%(총 응답자 6천677명)에 불과했다.

고급 인적자원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한정적인데 구직자의 학력이 지나치게 인플레이션이 되다 보니 원하는 일자리와 실제 구할 수 있는 일자리 간 미스매치가 일어나는 것이다.

직업능력개발원 김안국·유한구 박사가 지난해 8월 내놓은 '대학 및 전문대학 졸업자의 직종별 수요 추정' 보고서를 보면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석박사 인력은 25만2천901명이지만, 실제 인력은 113만589명으로 87만7천688명이 과잉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가 2011년 '지역별 고용조사'를 기초로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요즘 고급인력 과잉현상은 더욱 심화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학력을 갖췄어도 일자리가 없으니 '울며 겨자 먹기'로 하향지원을 할 수밖에 없다.

이 보고서의 직종별 조사을 보면 고급인력이 필요없는 사무직종에 석박사 18만5천369명이 취업해 있었고, 고졸이나 전문대졸이 주로 필요한 서비스직에도 석박사 1만8천334명이 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월 국내 한 은행이 250여개 우수 중소·중견기업과 함께 개최한 취업박람회는 주로 특성화고 학생이나 대학생, 이직희망자 등을 대상으로 한 행사였지만, 석·박사 학위 소지자도 상당수 참가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2년 박사인력활동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22만85명 중 2.5%는 현재 '실업' 상태에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여기에 '비경제활동' 상태인 응답자 5.8%를 합하면 박사 100명 중 8명은 일을 하지 않는 셈이다.

고학력자의 일자리 하향지원은 사회 전체적으로 취업난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

석박사 인력의 하향지원은 대졸자가 전문대졸 일자리로, 전문대 졸업자가 고졸 일자리로, 고졸자가 그 이하의 일자리로 내려가는 연쇄작용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김 박사는 "석박사의 증가는 '학력주의'의 표출로 볼 수 있다"며 "학업성적에 따른 일자리 배치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교육을 정상화하는 등 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