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총수 줄줄이 등기임원 사퇴…"보수 공개하기 싫어서"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등기임원 보수 공개 의무화 이후 30대 재벌그룹 총수들이 등기임원직에서 물러나는 경우가 잇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재벌그룹 중 삼성, SK, 현대중공업, 한화, 두산, 신세계, LS, 대림, 미래에셋 등 9개 그룹의 총수는 계열사 등기임원을 단 한 곳도 맡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재벌닷컴이 총수가 있는 자산 상위 30대 그룹을 대상으로 등기임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달 말 현재 총수가 등기임원으로 등재된 곳은 78개사로 2013년의 108개사와 비교해 27.8% 감소했다.


총수, 총수 사촌 이내 친족의 등기임원 등재 계열사도 275개사에서 204개사로 61개사(25.8%)가 감소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지난해 2월 한화를 비롯해 한화케미칼, 한화건설 등 7개 계열사의 등기임원에서 모두 물러나 30대 재벌총수 중 등기임원 사퇴 건수가 가장 많았고 장형진 영풍그룹 회장은 주력사인 영풍 등 6개사,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 5개사,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5개 계열사 등기임원에서 물러났다.

또, 최태원 SK그룹 회장 3개사,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 2개사,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 등은 1개 계열사 등기임원직을 그만뒀다.

재벌닷컴은 "재벌총수들이 등기임원직을 내놓는 이유는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2013년부터 등기임원의 보수공개가 시작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많이 본 뉴스